중국의 경제 영토 확장 프로젝트인 ‘일대일로’에 참여한 개발도상국들이 갚아야 할 부채가 올해만 30조 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빚더미에 오른 개도국들이 빈곤 감소나 보건 문제 등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27일 호주 싱크탱크 로이(Lowy)연구소에 따르면 국제개발협회(IDA)로부터 차입 가능한 75개 개도국이 중국에서 빌린 부채 가운데 올해 상환 만기가 돌아오는 금액은 총 216억 2000만 달러(약 29조 6340억 원)로 사상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부채 규모는 2023년 103억 6000만 달러, 2024년 203억 9000만 달러로 매년 급증하고 있는데, 중국이 개도국들을 일대일로 사업에 적극 끌어들인 영향인 것으로 풀이된다. 로이연구소의 라일리 듀크 연구원은 “2012년부터 2018년 사이 중국과 개도국이 맺은 약정 수는 정점을 찍었으며 이제 순차적으로 상환이 도래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대일로 ‘청구서’가 날아들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중국은 시진핑 국가주석 집권 이듬해인 2013년 하반기부터 일대일로 프로젝트를 본격화했으며 현재 개도국의 최대 ‘채권 추심국’으로 떠올랐다. 대(對)중국 순채무 관계인 개도국 수는 2012년 18개국에서 2023년 60개로 3배 이상 급증했다.
중국은 인프라 개발을 명목으로 개도국에 돈을 빌려주며 일대일로 계약을 맺는다. 단적으로 콩고민주공화국·인도네시아 등 광물 보유국과는 광물 개발 목적으로 돈을 빌려주고 사업권을 따오는 등 일대일로를 광물자원 확보 수단으로도 적극 활용하고 있다. 이로 인해 중국과 개도국 간 경제 산업적 밀착도 더욱 심화되고 있다. 지난해 기준 중국과 일대일로 참여국 간 무역 규모는 사상 처음으로 중국 대외 무역의 절반을 넘었다.
듀크 연구원은 “중국에 갚아야 할 부채가 눈덩이처럼 불어나면서 개도국들의 재정 부담은 커지고 있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개도국의 부채 취약성이 증가하고 보건이나 교육, 빈곤 감소 등에 써야 할 지출이 줄어들고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일대일로 참여국 중 23개국이 5%에 달하는 고금리 부채를 견디지 못하고 파산 위기에 처한 것으로 파악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