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첨단과학 기업도시로" 리빌딩 속도내는 부천시

市, 대한항공·DN솔루션즈 유치

대장 산단 무인기연구소 등 조성

주한유럽상의 행사 열고 적극홍보

조용익 시장 "사람 모이는 도시로"

부천대장 도시첨단산업단지 조감도 및 기업위치도. 이미지 제공 = 부천시




부천시가 첨단과학 기업도시로 거듭나기 위한 작업에 본격 착수했다. 대한항공·SK그린테크노캠퍼스·DN솔루션즈 등 첨단 기업들이 부천대장 도시첨단산업단지에 속속 둥지를 틀기로 하면서 첨단산업 생태계 구축의 밑그림이 완성돼 가고 있다. 2000년대 초까지만해도 인구 90만 명을 넘보던 부천은 좁은 면적, 택지 개발 지연, 제조업 쇠퇴가 맞물리며 성장의 벽에 부딪혔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민선 8기 조용익 시장 체제 들어 다시금 부활하는 모습이다.

25일 관련 지자체에 따르면 부천시는 올들어 두 차례 대규모 투자유치에 성공했다. 시는 지난달 대한항공과 2030년까지 부천대장 제2도시첨단산업단지 내 6만5845㎡ 부지에 무인기연구소, 무인기조립장, 운항훈련센터 등을 조성하는 내용의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이곳에는 석·박사급 전문 인력 포함 1000여 명이 상주하며, 매년 2만 1000여 명을 대상으로 항공 조종사 교육훈련이 진행된다.

부천시는 지난 1월에는 선반 및 머시닝 센터 제조 분야 국내 1위이자 글로벌 톱3 기업인 DN솔루션즈와 2400억 원 규모의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부천대장 제1도시첨단산업단지 내 1만4334㎡ 규모로 DN솔루션즈의 첨단기술 연구개발(R&D) 센터가 들어서며 2028년 준공을 목표로 준비가 한창이다.

부천시는 앞선 2023년에는 SK그린테크노캠퍼스 조성 협약을 맺기도 했다. 이를 통해 부천대장 제1도시첨단산업단지 내 13만7000㎡ 부지에 SK이노베이션 등 SK그룹 핵심 계열사를 집적화한 친환경 에너지 연구개발(R&D) 단지가 조성될 예정으로, 석·박사급 인력 1000여 명이 상주하게 된다. 부천시는 항공기술·정밀기계·에너지 효율화 등 각기 다른 분야를 선도하는 기업들이 한 공간에 모인 만큼 기술 융합·R&D 연계·협력 네트워크 형성 등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조용익 부천시장(가운데)이 지난 4월30일 부천아트센터에서 열린 ‘대한항공 부천대장 도시첨단산업단지 투자 및 입주 협약식’에 참석해 유관 기관 관계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 = 부천시


이 같은 부천의 리빌딩을 주도하는 이는 조용익 시장이다. 조 시장은 부천대장 도시첨단산업단지를 차세대 산업기술 융합지구로 점찍고 기업 및 투자유치에 공을 들이고 있다.

부천시는 지난 15일 그랜드하얏트서울 호텔에서 주한유럽상공회의소 주최로 열린 ‘올 유러피언 네트워크 나이트 2025’에 참가하기도 했다. 이 행사는 주한유럽상공회의소가 개최하는 연중 최대 규모 네트워크 모임으로 이날 현장에는 주한 유럽연합대표부 등 국내외 기관·기업, 지방자치단체 관계자 등 200여 명이 참석해 기업 관련 정보 공유와 소통을 이어갔다. 부천시는 지자체 중 처음으로 주한유럽상공회의소 행사장 내 홍보부스를 설치하고 현장 홍보를 진행해 참가자들의 눈길을 끌었다. 부스에서는 부천대장 도시첨단산업단지 홍보영상을 상영하고, 기업 관계자들과 1대1 맞춤형 상담도 진행했다. 기업인들은 부천대장 도시첨단산업단지의 국제공항까지의 뛰어난 접근성,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D·y분기·E 노선, 대장-홍대선 등 교통인프라 등에 집중적인 관심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조 시장은 행사장에서 필립 반 후프 주한유럽상공회의소 회장과 헤이키 란타 주한핀란드상공회의소 회장, 독일 가전 브랜드 밀레의 한국법인 밀레코리아 최문섭 대표 등을 만나 기업도시 부천의 잠재력과 투자 매력을 직접 설명하며 적극적인 홍보활동을 펼쳤다.

우수 기업 유치를 위한 조 시장의 발걸음은 올들어 한결 더 분주해졌다.올 3월과 4월에는 한국경제인협회(FKI)와 한국능률협회(KMA)가 주최하는 조찬 모임에 참석해 부천대장 도시첨단산업단지의 입지적 강점과 차별화된 투자유치 전략을 소개했다. 올 하반기에는 국가 최고위급 기업설명회(IR) 행사인 ‘인베스트코리아 서밋’에 참가해 해외 주요 외국인투자기업을 대상으로 홍보활동을 지속할 예정이다.

조 시장은 “우수 기업을 유치해 좋은 일자리가 늘면 부천을 찾는 생활인구가 늘어나고, 숙박·교통·상업 등 지역경제 전반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수도권 최고 교통중심지의 장점을 살려 사람이 모이고 함께 어울려 생활하는 직주근접 자족도시를 이루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