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이 올여름 기온이 평년보다 높을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을 내놨다. 23일 발표한 6-8월 3개월 전망에서 기온이 평년보다 높을 확률을 비슷하거나 낮을 확률보다 더 높게 제시했다.
초여름인 6월 기온은 평년(21.1-21.7도)보다 높거나 비슷할 확률이 각각 40%로, 낮을 확률 20%를 웃돌았다. 본격적인 여름철인 7월(평년기온 24.0-25.2도)과 8월(24.6-25.6도)은 평년보다 더울 확률이 50%에 달했다. 비슷할 확률은 40%이고 낮을 확률은 10%에 불과했다.
유럽중기예보센터(ECMWF)와 미국 해양대기청(NOAA) 등 11개국 기상당국의 474개 기후예측모델 전망치를 평균낸 결과도 같은 양상을 보였다. 앙상블 평균 확률을 보면 6월은 평년보다 더울 확률이 58%, 7월은 64%, 8월은 71%였다.
기상청은 올여름 더위의 주된 원인으로 열대 서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높은 상태인 점을 꼽았다. 해수면 온도가 높으면 해당 지역에서 대류 활동이 활발해져 상승기류가 발생한다. 이로 인해 동아시아에 하강기류가 나타나고, 우리나라 남동쪽에 고기압이 발달한다. 고기압 가장자리를 타고 시계방향으로 바람이 불면서 우리나라로 고온다습한 남풍이 유입돼 무더위로 이어진다.
월별로 보면 6월은 북인도양 해수면 온도 상승, 7월은 남인도양 해수면 온도 상승, 8월은 봄철 유럽 눈 덮임 감소가 각각 더위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다. 이들 요인은 모두 우리나라 남동쪽 고기압 발달을 통해 무더위를 야기한다.
올여름 기온을 낮출 요인도 있다. 지난 봄 중국 동북부 눈 덮임이 적어 이 지역 고기압 발달로 우리나라에 저기압이 형성될 수 있다. 티베트 지역 눈 덮임이 평년보다 많은 점도 한여름 티베트고기압 강도를 약화시킬 수 있다.
강수량은 6월은 평년보다 많고 7-8월은 평년과 비슷할 것으로 예측됐다. 6월은 강수량이 평년(101.6-174.0㎜)보다 많을 확률과 비슷할 확률이 각각 40%로 나타났다. 7월(평년 강수량 245.9-308.2㎜)과 8월(225.3-346.7㎜)은 평년과 비슷할 확률이 50%로 가장 높았다.
6월 강수량 증가는 북인도양과 열대 서태평양 수온 상승으로 고온다습한 남풍이 유입되고, 티베트고기압 약화로 대기 상층 기압골이 발달하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반면 유럽 눈 덮임과 바렌츠-카라해 해빙 면적 감소는 강수량을 줄이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태풍은 평년(2.5개)과 비슷하거나 적을 확률이 각각 40%로, 많을 확률 20%를 웃돌았다. 기상청은 "북태평양고기압 가장자리가 한반도 남쪽에 자리한 상황에선 태풍이 한반도로 북상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