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조 4000억 원 규모의 용인 첨단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 국가산업단지 1공구 조성 공사의 입찰 기준을 놓고 잡음이 일고 있다. 기준을 충족하는 컨소시엄이 현재 한 곳이라 수의계약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큰 상황인데 업계에서 입찰 조건이 지나치게 까다롭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공사의 난도가 높아 기준도 높을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21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LH는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1공구 조성 공사를 위한 2차 입찰 공고를 게재했다.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조성 공사는 정부가 지난해 12월 국가산단으로 지정한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첫 단계라고 할 수 있다. 1공구 사업비만 1조 3836억 원에 달해 업계의 관심이 높다.
재공고가 이뤄진 것은 지난달 진행한 1차 입찰에서 경쟁 입찰이 성립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1차 입찰에서는 현대건설 컨소시엄(GS건설·대보건설·금호건설·강산건설 등)과 대우건설 컨소시엄(남광토건·극동건설·태영건설·중흥토건 등)이 참여했다. 이 중 대우건설 컨소시엄이 입찰참가자격 사전심사(PQ) 기준 미충족으로 탈락해 현대건설 컨소시엄 단독 참여 형식이 됐다.
1차 입찰 때 LH는 공사 이행 능력 평가 기준을 ‘최근 10년간 단지 조성 공사 실적 1조 3836억 원’으로 제시하고 여기에 미치지 못할수록 점수를 깎았다. 이를 두고 업계에서는 LH의 실적 평가가 주로 공사 면적으로 이뤄지던 것을 감안하면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나왔다. 실제로 대우건설 컨소시엄도 공사 실적 금액을 채우지 못해 탈락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에도 경쟁 입찰이 성립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LH가 1차 입찰 때와 같은 기준을 제시했기 때문이다. 대우건설 컨소시엄은 1차 입찰 때 PQ 문턱을 넘지 못한 만큼 재입찰 참여 여부를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 만약 현대건설이 2차 입찰에서 단독 입찰하게 되면 수의계약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셈이다.
업계 일각에서는 공공 공사의 원칙이 경쟁 입찰임을 고려해 LH가 더 유연한 태도를 보일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일례로 가덕도 신공항 부지조성공사는 유찰이 거듭되자 컨소시엄 참여사 수 제한 규정이 완화됐다. 반면 LH는 입찰 공고 전 PQ 기준을 충분히 설명했고 시공능력평가액 상위 10개 업체의 참여도 최대 두 곳 허용한 만큼 입찰 요건에 문제는 없다는 입장이다. LH 관계자는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조성 공사는 일정이 촉박하고 고난도 공정이 많아 높은 기준으로 심사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