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대선을 19일 앞두고 본격 선거 체제에 돌입했지만 인선과 복당 논란 등으로 내홍이 지속되고 있다.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는 15일 비공개 회의를 열고 최경환 전 부총리와 장예찬 전 청년최고위원의 복당을 의결했다. 김문수 대선 후보는 “우리 당에서 성장하고 정치인으로 발전하던 중에 당에서 안타깝게 떠나거나 본의 아니게 밖으로 나간 분들이 있다”며 “저는 이 모든 분을 포용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 당은 쇳물을 녹이는 뜨거운 열정으로 이질적인 많은 부분을 녹여 국민 행복에 필요한 훌륭한 인재들을 양성하는 용광로가 되겠다”고 밝혔다.
최 전 부총리는 국가정보원으로부터 뇌물을 받은 혐의로 2019년 징역형이 확정된 직후 탈당했다. 이후 그는 지난해 총선에서 경북 경산에 무소속 출마했지만 조지연 국민의힘 의원에 밀려 낙마했다. 장 전 최고위원 역시 지난해 총선에서 부산 수영구 후보로 공천됐지만 막말 논란으로 공천이 취소되자 탈당 후 무소속으로 출마했다가 낙선했다.
당내에서는 이들의 복당을 두고 파열음이 이어지고 있다. 친한동훈(친한)계 한지아 의원은 장 전 최고위원의 복당에 “이것이 (김용태) 비대위원장 내정자가 이야기한 ‘국민께서 놀라실 정도의 빠른 변화’인가”라고 일갈했다. 국민의힘 부산 수영 당협위원회는 이날 장 전 최고위원 복당 반대 기자회견을 열었다. 반면 친윤석열(친윤)계 조 의원은 “치열했던 지난 총선 과정이었지만 지금은 우리 당이 대선 승리를 향해 나아갈 때”라며 최 전 부총리의 복귀를 환영했다.
국민의힘은 전날 12·12 군사 쿠데타와 5·18 광주 민주화 운동 진압을 주도한 혐의로 유죄판결을 받은 정호용 전 국방부 장관을 상임고문으로 위촉했다가 논란이 커지자 5시간 만에 인선을 취소하기도 했다. 조승래 더불어민주당 선대위 수석대변인은 “5·18 광주 민주화 운동 45주기를 며칠 앞둔 시점에 ‘광주 학살의 원흉’인 정 전 장관을 발표한다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며 “김 후보와 국민의힘의 정체성이 의심스럽다”고 비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