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도요타자동차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자동차 관세와 급격한 엔고 영향으로 순이익이 35%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다만 미국 자동차 관세로 인한 추가 비용의 일부만 반영한 만큼 실적은 더 악화할 수도 있다.
도요타는 8일 결산 발표회에서 2025 회계연도(2025년 4월~2026년 3월) 연결 순이익이 34.9% 감소한 3조 1000억 엔(약 30조 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줄어드는 금액만 1조 6650억 엔(약 16조 1000억 원)이다.
매출액은 1% 증가한 48조 5000억 엔, 영업이익은 21% 쪼그라든 3조 8000억 엔을 전망했다. 자동차 생산은 견조하게 유지되지만 엔화 강세와 트럼프 행정부의 수입차 관세정책이 실적을 끌어내릴 것으로 분석됐다. 전 세계 자동차 생산은 전년 대비 3.2% 증가한 1000만 대를 목표로 내걸었다. 2024 회계연도(967만 대)에 비해 약 32만 대 늘어난 수치다.
4월부터 본격 발효된 미국의 수입차 관세(25%)가 직격탄을 날렸다. 도요타는 이번 실적 전망에서 올 4~5월분 관세의 영향을 1800억 엔 감익 요인으로 잠정 반영하며 관세로 인한 비용 부담이 본격화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사토 고지 도요타 최고경영자(CEO)는 “미국의 관세는 아직 유동적이라 예상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면서도 “도요타의 미국 고객이 많기에 중장기적으로는 현지 고객에 적합한 제품을 현지에서 개발·생산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2024 회계연도 도요타의 미국 판매는 233만 대이며 이 중 50%가 수입 물량이다.
엔화 가치 상승도 실적 악화 요인으로 지목됐다. 연초 달러당 157엔대였던 엔화 환율은 최근 139엔대까지 하락하며 ‘엔화 강세’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이번 실적 전망에서 환율 전망은 달러당 145엔으로 설정됐다. 전년보다 8엔 높은 수준이다. 도요타는 엔화가 1엔 강세를 보이면 연간 영업이익이 500억 엔 감소한다고 밝혀왔다.
한편 2024 회계연도 영업이익은 4조 7955억 엔으로 전년 대비 10.4% 감소했으나 연결 매출액은 48조 367억 엔으로 6.5% 증가했다. 순이익은 4조 7650억 엔으로 3.6% 줄었다. 영업이익 전망 등이 시장 예상치보다 낮게 발표되면서 이날 도요타 주가는 한때 전일 대비 3% 하락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