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형 도시농부가 농촌일손 해결사로 부상하고 있다.
충북도는 지난 2023년부터 본격 추진한 ‘충북형 도시농부 사업’이 안정적이고 원활히 추진되면서 농촌의 고질적인 일손 부족 문제 해결은 물론 유휴인력의 일자리 창출에도 큰 기여를 하고 있다고 2일 밝혔다.
충북형 도시농부 사업은 도시지역 유휴 인력을 농촌의 일손으로 연계하는 정책이다. 4월말 기준 추진 실적이 5만6447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만8714명 대비 3배 이상 증가했다.
2023년부터 누적 실적은 4월말 기준 27만2000명이며 2025년말까지 50만명 이상이 참여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도는 △전국 최초 하루 4시간 근무제 도입으로 일자리 틈새시장 개척 △인력난 농가에 안정적인 인력 공급 기반 마련 △도시농부에게 부담없는 농촌일자리 제공 △농업·농촌 체험 통해 귀농귀촌 활성화로의 연결 가능성 제시 등이 충북형 도시농부 사업의 성공과 괄목할 만한 성과를 낸 비결로 꼽았다.
이같은 성과는 현장의 높은 만족도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도시농부 참여자 1만317명(도시농부 581명, 농가 73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도시농부의 80%, 농가의 81%가 ‘매우 만족’ 또는 ‘만족’이라고 응답했다.
또한 전국적 관심도가 높아져 경기도, 전북도 등 자치단체에서도 시행을 검토하고 있다.
강찬식 도 농업정책과장은 “도시농부 사업이 이제는 농촌의 대표적인 일자리 사업으로 확실히 자리매김했다”며 “도시농부를 통해 농촌의 인력 부족과 도시 일자리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는 충북형 모델을 지속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