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원은 30일 오는 5월 9일 열리는 러시아의 제2차 세계대전 승리 80주년 기념행사(전승절)에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직접 참석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국정원은 이날 국회 정보위원회 비공개 간담회에서 이런 내용을 보고했다.
국정원은 북러 관계와 관련, “러시아 전승절 80주년 행사에는 김 위원장이 직접 참여하지 않고 최룡해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등 대체 인사 참석 가능성이 높다”며 “김 위원장이 참석하려면 몇 주 전부터 경호 등이 관측돼야 하는데 그렇지 않은 것으로 봐선 (참석 인사가) 김 위원장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또 북한과 러시아가 파병 사실을 공식화한 배경에 대해선 “대러(러시아) 최우선 밀착 기조 속에서 (러-우크라) 종전 후 동맹 관계를 펴려는 김정은과, 극적인 성전(聖戰)의 모양새가 필요한 푸틴의 입장이 절충된 결과”며 “이를 계기로 북한은 공세적 반대급부를 요구하고 정식 교전국 지위 행사를 하고 러시아 뒷배를 업어 도발 등 행보가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북미 관계와 관련해선, 국정원은 “북한은 미국에 최강경 대응 전략 아래 (미국의) 태도 전환에 대한 지속적인 압박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면서 “다만 현재까진 구체적인 접촉 동향은 확인되지 않지만, 북한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 대한 비난을 자제하고 유화 메시지를 발신 중이기 때문에 북미 회동이 전격적으로 성사할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국정원은 북중 관계에 대해 “북한은 중국과는 러-우크라 종전에 대비한 ‘리스크 헤징’(위험 회피) 차원에서 관계 개선을 시도하고 있지만, 중국의 북한 길들이기가 지속적으로 진행돼 답보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