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오는 6월부터 저이용·저밀도 역세권 일대를 복합용도로 개발하는 ‘부산형 역세권 활성화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이 사업은 민간 제안에 따라 주거지역을 상업지역으로 변경하고 용적률을 대폭 상향하는 등 민간의 참여와 투자를 촉진해 부산을 ‘기능 집약형 도시(Compact City)’로 탈바꿈시키는 것을 골자로 한다.
시는 ‘2040년 부산도시기본계획’의 10대 중심지(기장·해운대·동래·서면·중앙·덕천·사상·하단·강서·신공항)와 연계해 부산 전역 132개 역세권을 상업·업무거점, 산업·지역거점, 주거거점, 교외근린, 신규개설 등 5개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 역세권의 특성과 기능에 맞춘 맞춤형 복합개발을 추진한다고 29일 밝혔다. 역세권 범위 역시 기존 도시철도역 중심에서 승강장 경계로 변경해 상업·업무거점과 산업·지역거점은 350m, 나머지 유형은 250m로 각각 설정했다.
이번 사업으로 기존에는 대규모 유휴부지 외에는 불가능했던 민간 제안의 용도지역 변경이 가능해지면서, 역세권 내 다양한 복합용도 개발이 활성화될 전망이다.
역세권 활성화사업에 참여하는 민간 사업자는 주요 기능 확보와 입지요건 충족 시, 용도지역을 2단계까지 상향할 수 있다. 여기에 업무시설 등 복합용도를 도입하면 법적 상한 용적률의 최대 1.2배까지 추가 완화가 가능하다. 복합용도 도입 시에는 업무시설, 관광숙박시설 등 50% 이상을 차지해야 하며 이를 통해 역세권이 성장거점과 혁신공간으로 재탄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박형준 부산 시장은 “부산형 역세권 활성화사업은 역세권 일대를 성장거점이자 일자리·주거·여가가 복합된 혁신공간으로 조성하는, 글로벌 허브도시 부산 실현에 꼭 필요한 사업”이라며 “과도한 상업시설 공실 문제와 도심공동화를 해소하고 지역경제 활력 증진에 이바지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