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 프리즘*맞춤형 경제 브리핑
* 편집자 주 : ‘AI PRISM’(Personalized Report & Insight Summarizing Media)은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개발한 ‘인공지능(AI) 기반 맞춤형 뉴스 추천 및 요약 서비스’입니다. 독자 유형별 맞춤 뉴스 6개를 선별해 제공합니다.
SK텔레콤(017670)이 서버 해킹으로 인한 가입자 정보 유출 사고와 관련해 고개를 숙였다. 유영상 대표는 25일 기자간담회에서 사과하며 2300만 전체 가입자에게 유심을 무료로 교체해주기로 결정했다. 28일 오전 10시부터 전국 티월드 매장과 공항 로밍센터에서 진행하며, 이미 자비로 교체한 가입자도 비용을 환급받게 된다.
대체거래소(ATS)의 인기가 급상승하며 거래 대금 비중이 한국거래소 대비 처음으로 30%를 넘어섰다. 23일 기준 ATS 거래 대금은 4조 6358억 원으로, 한국거래소(14조 4425억 원)의 32%를 차지했다. 출퇴근 시간 거래 가능한 프리마켓(오전 8시~8시 50분)과 애프터마켓(오후 3시 40분~8시) 덕분에 직장인들의 투자 기회가 크게 확대됐다.
정부가 계란 가격 급등 현상에 개입하기로 했다. 산지가격이 두 달 새 23% 치솟자 담합 여부를 조사하기로 결정했다. 2월 12일 기준 146원이었던 계란(특란) 1구 가격은 4월 1일 180원으로 뛰었으며, 1판(30구) 기준으로는 4380원에서 5400원으로 1000원 넘게 상승했다.
■ SK텔레콤 해킹 사고 대응
SK텔레콤이 18일 가입자 유심 정보를 관리하는 홈가입자서버(HSS)가 악성코드에 감염된 정황을 확인한 후 일주일 만에 공식 사과했다. 유영상 대표는 유심 불법 복제를 통한 대포폰 개통 등 2차 피해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모든 고객에게 유심 무료 교체를 약속했다. 업계에 따르면 유심 원가는 2000~3000원 정도로 최대 700억 원의 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됐다.
■ 대체거래소 거래 급증
한국거래소 대비 대체거래소의 거래 대금 비중이 1개월 만에 13%포인트 급증했다. 종목이 800개로 확대된 3월 31일 기준 ATS 거래 대금은 2조 5740억 원으로 한국거래소(13조 2621억 원) 대비 19%에 그쳤으나 한 달도 되지 않아 32%까지 치솟았다. 변동성 장세 속 빠른 거래 속도와 낮은 매매 수수료, 확장된 거래 시간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 계란 가격 급등 논란
계란 산지가격이 23% 이상 상승하자 정부가 공정위와 함께 담합 조사에 나섰다. 산란계협회는 고병원성 AI로 닭 480만 수를 살처분해 수급 불균형이 생겼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통계청은 일평균 계란 생산량이 오히려 증가(5043만→5048만 개)했다고 반박했다. 정부는 계란 산지가격 발표를 축산물품질평가원으로 일원화하고 실거래가격 신고 의무화도 추진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신입 직장인 관심 뉴스]
1. ‘해킹 사고’에 고개 숙인 SKT…유영상 대표 “심려 끼쳐 죄송”
- 핵심 요약: 유영상 SK텔레콤 대표가 서버 해킹으로 인한 가입자 정보 유출 사고에 공식 사과했다. 18일 해킹 사고 인지 후 일주일 만에 직접 나서 2300만 전체 가입자에게 유심 무료 교체, 이미 교체한 고객 비용 환급을 약속했다. 28일부터 전국 티월드 매장과 공항 로밍센터에서 서비스를 시작한다.
2. 美 주식 연계, 퇴근 후 거래에…대체거래소 거래대금, 한국거래소 30% 넘었다
- 핵심 요약: 대체거래소(ATS)의 거래 대금이 한국거래소 대비 32%를 차지하며 처음으로 30%를 돌파했다. 출퇴근 시간대 거래 가능한 프리마켓(오전 8시~8시 50분)과 애프터마켓(오후 3시 40분~8시)이 인기 요인으로 작용했다. 변동성 장세에서 반도체·자동차·2차전지 등 시가총액 상위 종목 거래가 활발했다.
3. 두달새 23% 뛴 계란값…업계 “조류 독감 때문” 정부 “사실 아냐”
- 핵심 요약: 계란 산지가격이 2개월 만에 23%나 급등해 기재부가 물가관계차관회의에서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1판(30구) 가격이 4380원에서 5400원으로 1000원 넘게 올랐으며, 최근 5년 내 처음으로 5000원을 넘어섰다. 산란계협회는 AI 확산을 원인으로 꼽았으나 정부는 생산량 증가 통계를 근거로 이를 반박했다.
4. 中제재 동참·FTA 재협상도 빠져…“별도 트랙 가능성, 미리 전략짜야”
- 핵심 요약: 한미 통상 협의에서 방위비 인상이나 대중국 제재 동참 등 민감한 이슈가 배제됐다. 최상목 부총리는 방위비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도 협상에서 군대 문제를 다루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양국 모두 협상 속도를 높이기 위해 민감 이슈를 분리한 것으로 분석된다.
[키워드 TOP 5]
유심교체, 대체거래소, 프리마켓, 계란값급등, 한미통상협상, AIPRISM, AI프리즘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