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인도와 농산물, 전자상거래, 데이터 저장, 주요 광물 등 19개 분야에 대한 무역 협정을 논의하기로 했다. 미중 무역전쟁이 이어지는 가운데 인도가 미국의 새로운 협력자로 떠오를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25일(현지 시간) 블룸버그통신은 지난 21일 JD밴스 미국 부통령이 인도 뉴델리를 방문해 나렌드라 모디 총리와 회동하며 무역 협정을 위한 논의의 틀을 마련했다고 보도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달 인도에 10%의 기본 관세와 26%의 상호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으나 7월까지 발효를 유예한 상태다.
가장 먼저 인도의 농산물 시장이 타깃이 됐다. 미국은 자국 농산물 수출을 늘리기 위해 인도에 관세 및 무역 장벽을 인하하도록 압박하고 있다. 세계 최대 식량 생산국 중 하나인 인도는 유전자 변형 콩과 옥수수 등 미국산 농산물에 대한 규제 문턱을 높여온 상태다.
전자상거래 분야에서도 아마존과 월마트 등 미국 기업이 진출할 수 있도록 인도에 시장 개방을 요구할 전망이다. 인도의 소매 시장은 '모모숍'이라고 불리는 개인 운영 상점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인도 정치권은 대형 미국 온라인 소매업체들이 저렴한 가격과 대량 유통으로 시장을 잠식하지 못하도록 규제를 통해 자국의 수천만 개 소규모 상점을 보호 중이다.
인도의 데이터 현지화 정책도 협상 테이블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구글과 아마존, 메타 등 기업들은 정보를 인도 현지 서버에 저장·처리하도록 규제하는 인도의 데이터 정책에 반발하고 있다. 서버와 데이터센터를 새로 구축해야 하는 만큼 추가적인 비용과 복잡성이 발생해서다. 이밖에 미·중 무역 협정의 주요 타깃인 주요 광물과 규제 관행, 무역에 대한 기술적 장벽 등도 무역 협상에서 구체적으로 논의될 전망이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이번주 미국과 인도가 합의에 매우 근접했다"고 밝히며 인도는 일본, 한국과 함께 조기 합의를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인도와 미국은 양국 간 교역 규모를 지난해 1276억 달러에서 2030년까지 5000억 달러로 확대하기로 한 상태다.
미국이 중국 대신 인도를 협력 대상으로 점찍었다는 시각도 있다. 지난 22일 월스트리트저널(WSJ)는 "인도와 미국은 최근 몇 년 동안 무역 파트너이자 방위 동맹으로서 중국의 팽창주의에 대응하기 위해 더욱 가까워졌다"고 보도했다. WSJ에 따르면 밴스 부통령은 인도에서 "인도에는 활력이 넘치고 무한한 가능성이 있다"며 "서방 지도자 일부는 자기 의심에 시달리고 미래에 대한 두려움을 느끼는 것처럼 보이는데 이들과 인도는 뚜렷한 대조를 이룬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중국 당국은 "중국과 무역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결코 관세 문제에 대한 협상이나 담판을 진행한 바 없다"고 재차 부인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24일 백악관에서 열린 요나스 가르 스퇴르 노르웨이 총리와의 오찬 회동에서 취재진으로부터 '중국의 누구와 무역 대화를 나누냐'는 질문에 재차 "그들은 오늘 오전에 회의했다"며 미중 양국이 만났다고 했지만, 궈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도 미중 관세 협상이 없었다며 재차 부인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