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21대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부산글로벌허브도시 조성 특별법 제정 등 10대 핵심공약을 포함한 3대 분야 32개 사업 총 140조 원 규모의 대선공약 과제를 21일 발표했다. 시는 이번 대선을 부산의 미래를 획기적으로 앞당기고 지역균형발전이라는 국가발전 패러다임의 전환점으로 삼겠다는 목표 아래, 공약을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이번에 발표된 대선공약 과제는 ‘글로벌 허브도시’와 ‘시민행복도시’라는 양대 지향점을 중심으로 허브 기반 구축, 혁신산업 주도성장, 살고 싶은 정주기반 등 3대 분야로 구성됐다. 허브 인프라 구축 분야에는 가덕 메가커넥트 프로젝트, 부산 게이트웨이 시티, K-북극항로 트라이포트 물류 허브도시 등이 포함됐다. 혁신산업 주도성장 분야에서는 인공지능(AI)·양자산업 남부권 거점, 글로벌 금융·창업 중심지, 미래 모빌리티 선도도시 조성 등이 제시됐다. 살고 싶은 정주기반 분야에는 K-콘텐츠·관광중심도시, 탄소중립친환경도시, 시니어휴양·치유도시 조성 등이 담겼다.
특히 시는 실질적 균형발전과 글로벌 허브도시 도약을 위해 상징성과 중요도가 높은 10대 핵심공약을 별도로 선정했다. 여기에는 부산글로벌허브도시 조성 특별법 제정, 한국산업은행 본사 부산 이전, 해사전문법원 부산 설립, 가덕도신공항 2단계 확장 및 공사 설립, 차세대 부산형 수소급행철도(BuTX) 구축 등이 포함됐다. 여기에 AI-양자 산업융합연구소 설립 및 AI 네거티브규제 테스트베드화, 전력반도체 파워시티 조성, 북부산 노포역 일원 통합개발, 국립 영상·게임컴플렉스 유치, 낙동강 하구 국가 3대 녹지 지정 등도 담겼다.
이준승 시 행정부시장은 “수도권 일극주의를 극복하고 부산을 남부권의 새로운 혁신성장 거점으로 만들기 위한 열쇠가 바로 ‘부산글로벌허브도시 특별법’과 ‘산업은행 부산 이전’”이라며 “이들 과제는 결코 정쟁의 대상이 아니라 부산의 미래와 생존의 문제”라고 강조했다. 또 “10대 핵심공약은 시민적 열망이 매우 높고 지역발전의 필수과제이므로, 주요 정당의 대선후보가 반드시 공약으로 채택해 주기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시는 부·울·경 협력사업(약 29조 원)과 인구지역균형발전부 신설, 지방분권형 헌법 개정 등 혁신 지방분권 실현을 위한 제도개선 과제도 국정과제화에 힘쓸 계획이다. 시는 이날 발표한 공약 과제를 각 당 대선후보에게 공식 제안하고 중앙당과의 소통 채널을 즉각 가동해 채택·반영된 공약이 새 정부 국정과제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정치권, 시민사회와 함께 총력을 다하겠다는 각오다.
이 부시장은 “이번 대선을 남부권 혁신거점 도약과 지역균형발전 실현의 결정적 계기로 삼기 위해 대규모 기반·산업·정주기반 사업과 10대 핵심공약 채택에 전방위적 노력을 이어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