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정도 구력이 쌓여도 혼란스러움을 느끼는 부분이 있다. 테이크어웨이, 즉 백스윙 출발 단계에서의 궤도가 그 중 하나다. 뒤로 빼주라는 소리인 건 알겠는데 안쪽인지, 바깥쪽인지, 또는 언제 위로 들어 올려야 하는지 헷갈려 고민이라는 골퍼들이 많다.
▲정답이 없는 테이크어웨이
사실 테이크어웨이는 아마추어뿐 아니라 선수들도 항상 고민하는 부분이다. 어떤 코치는 클럽 페이스의 하단부인 리딩에지가 지면과 직각을 이뤄야 한다고 하고, 또 일부에선 헤드가 오른쪽 허벅지 높이에 오기 전에 미리 손목을 꺾어 올리라고도 한다. 슬라이스가 날 땐 몸 뒤쪽으로 빼주라는 얘기도 있다.
결론을 말하자면 테이크어웨이에는 정답이 없다. 개개인의 스윙 특성과 체형, 구질 등에 따라 조금씩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다양한 이론들이 많은데, 테이크어웨이라는 게 어쨌든 백스윙으로 가기 위한 과정일 뿐인 만큼 여기에서 결과를 만들려고 너무 신경을 곤두 세우지 않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한다. 그러다가 테이크어웨이가 마음에 들지 않아 실망하면 스윙 전체를 망치기 쉽기 때문이다. 어느 정도 포지션까지만 가면 된다는 마음을 가지고, 스윙을 전체의 개념으로 보는 게 현명하다.
▲역그립으로 대략적 기준을 만든다
정답은 없지만 그래도 테이크어웨이에서 어느 정도의 기준을 만들고 점검하면 고민을 없애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대략적인 기준을 만들기 위한 것으로 역그립 연습 방법을 소개한다. 역그립은 퍼팅에서 주로 사용되는 말이다. 그립을 쥘 때 오른손이 왼손보다 밑에 놓이는 전통적인 방법과 반대로, 왼손이 오른손의 아래로 가게 해서 잡는 방법이다.
아이언 클럽 하나를 준비해 역그립으로 쥐고 어드레스를 취해보자. 복잡하게 생각하지 말고 클럽을 뒤로 빼주고, 그립을 쥔 양 손이 오른쪽 허벅지 높이에 오면 백스윙을 멈춘다. 평소의 그립으로 잡았을 때보다 약간 더 헤드가 가파르게 올라가는 느낌이 들 것이다. 이 상태에서 한쪽씩 손의 위치를 바꿔 정상적인 그립으로 잡아주면 ‘모범적인’ 테이크어웨이 포지션이 완성된다.
일반적인 그립으로 클럽을 잡고 테이크어웨이를 하면 궤도를 체크하기 어렵지만 역그립을 해보면 손목 움직임이 제한돼 기준점이 만들어진다. 너무 고민에 휩싸여 수시로 영상을 촬영하거나 하는 것보다 이런 방법으로 스스로 이 정도의 기준을 만들어주는 게 여러 모로 훨씬 도움이 된다고 믿는다.
잘못된 테이크어웨이 때문에 어떤 미스 샷이 나온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그러나 너무 몸 뒤쪽으로 빠지면 훅이나 푸시 샷이 나올 위험이 크고, 반대로 몸이 회전하지 않고 바깥쪽으로 들어 올리면 슬라이스로 이어지기 쉬운 측면은 있다.
김기환 남서울CC 로직골프아카데미 원장은 한국프로골프(KPGA) 투어 선수 출신으로 이정은6, 박보겸, 이승택 등을 지도하고 있다. 동작 시범을 맡은 주현경은 교습가로 활동 중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