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북동부를 휩쓴 산불로 삶의 터전을 잃은 이재민의 임시주택 입주가 시작됐다.
18일 경북도에 따르면 안동시 일직면 망호리 권정생 어린이문학관 부지에 모듈러주택 18동을 설치해 이날 4가구가 첫 입주했다.
모듈러주택은 2층 형태로 1동당 30㎡ 크기에, 현관‧욕실‧침실‧발코니를 갖췄다.
내부에는 생활에 필요한 가전 등 가재도구가 구비됐다. 층층이 쌓거나 모양을 변화시킬 수 있는 임시주택이다.
앞으로 안동 18동을 비롯해 의성 42동, 청송 20동, 영양 41동, 영덕 90동 등 211동이 공급된다.
경북도와 산불 피해 5개 시군은 이재민 수요 조사를 바탕으로 모듈러주택과 조립식주택 2468동 등 총 2679동의 임시주택을 공급할 계획이다.
이달 말까지 임시주택 수요의 44%인 1193동을 설치하고 나머지는 내달 말까지 공급을 완료한다는 목표다.
임시주택을 최대한 빨리 지원할 방침이나 설치 장소 바닥 작업, 상·하수도 및 전기 시설 설치 등 기반 공사와 임시주택 주문 제작에 시간이 걸리고 있다.
한편 이번 산불로 인한 주택 피해는 전소 3617채 등 총 4457채가 불에 탄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시군별로는 안동이 1737채로 가장 많고, 영덕 1423채, 청송 770채, 의성 390채, 영양 137채다.
이재민은 3501명이 발생해 현재 경로당, 마을회관, 연수원, 모텔, 친척 집 등에서 생활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