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원자력 컨소시엄이 미국 미주리대와 연구용 원자로 수출 계약을 체결하는 데 성공했다. 1959년 한국이 미국으로부터 연구용 원자로를 도입한 지 66년 만에 처음으로 원자력 종주국인 미국에 역수출하게 된 것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7일 한국원자력연구원·현대엔지니어링과 미국 MPR로 구성된 컨소시엄이 미주리대의 ‘차세대 연구용 원자로 사업’ 국제경쟁입찰에서 첫 단계인 초기 설계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 성사는 한국이 세계 최고 수준의 원자력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음을 입증한 것으로 평가된다.
연구용 원자로는 핵분열 시 방출되는 중성자와 방사선을 활용해 의약용 동위원소를 생산하거나 첨단 소재 실험, 중성자 연구 등을 수행하는 미래 산업의 핵심 인프라다. 원자력 기술 통제가 가장 엄격한 미국으로 연구용 원자로를 수출하기로 계약한 것은 매우 상징적인 일이다. 미 에너지부가 한국을 ‘민감 국가’ 리스트에 올린 조치의 효력이 발생한 다음 날인 16일 미주리대와의 원자로 수출 업무협약(MOU)이 체결됐지만 현장에서는 별다른 문제 제기가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우리 정부는 이번 계약을 계기로 한미 원자력 연구개발(R&D) 협력 차질에 대한 우려를 해소하고 민감 국가 지정이 해제될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또 한국 원자력 컨소시엄은 건설 계약까지 확보해 노후화로 교체가 예상되는 전 세계 50기 이상의 연구용 원자로 수주에도 적극 나서야 한다.
연구용 원자로의 미국 수출은 민관 협력의 대표적인 성공 사례다. 정부의 꾸준한 투자, 한국원자력연구원의 기술 개발, 현대엔지니어링의 원자력 사업 경험 등이 결합된 결과다. 이는 원전 생태계 복원의 중요성을 일깨워준다. 낡은 이념에 얽매인 탈원전 정책에서 벗어나 원전 생태계의 조속한 복원과 원전 수출 시장 확대를 위해 민관정(民官政)이 힘을 모아야 한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와의 관세 협상에서도 우리의 원자력 기술은 국익을 지키는 협상의 지렛대 역할을 할 수 있다. 원자력을 포함해 조선·에너지·방산·반도체 등에서 한미 양국의 ‘윈윈’ 산업 협력 방안을 구체화해 미국을 설득해야 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