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이례적인 폭설을 잘 대비한다면, 행정력으로도 멸종위기종인 산양의 갑작스러운 폐사를 막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작년 폭설로 인한 산양의 집단 폐사를 겪고나서야 행정력을 강화한 것은 안타까운 대목이다.
10일 환경부와 국가유산청은 2024년 11~2025년 3월 산양 폐사 신고 개체 수가 31마리로 전년 동기 대비 96% 급감했다고 밝혔다. 31마리는 2019~2021년 겨울철 폐사 신고 개체 수준이다.
산양은 작년 이례적으로 1000마리 넘게 죽었다. 산양이 이례적인 폭설로 인해 눈 속에 갇히고 먹이 부족을 겪은 탓이다. 여기에 아프리카돼지열병 차단 울타리가 산양의 이동까지 막았다.
환경부는 작년 10월 산양 보호를 위한 대책을 내놨다. 이 대책은 주효했다. 주요 이행 실적을 보면, 80곳에 먹이 급이대를 설치하고 22개 쉼터를 마련했다. 이 곳에는 약 2만2000kg의 먹이를 비치됐다. 인제·고성·속초권역 특별순찰대는 작년 11월부터 올해 3월까지 한 달 평균 160회 겨울산을 올랐다. 다른 지역도 월 70회회 구조 손길이 필요한 산양을 찾아다녔다. 환경부는 올 하반기 열병 차단 울타리가 산양 등 야생 동물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추가 대책을 내놓는다. 집단 폐사의 원인으로 지목된 울타리 문제가 올해 해결될지 주목된다. 김태오 환경부 자연보전국장은 “시민과 정부가 협력한 덕분에 지난 겨울 산양을 보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