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8일 대전 한남대학교 56주년 기념관에서 SK에코플랜트, KAIST, 한남대학교, 한국과학기술지주, SK증권 등 총 11개 기관과 함께 반도체 기술개발 및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산업계, 학계, 연구기관, 공공기관을 대표하는 주요 기관들이 참여해 반도체 종합서비스 분야 유망 창업기업을 발굴 및 육성, 민관 협력 기반의 지속 가능한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협력체계를 구축하는데 뜻을 모았다.
이번 업무협약 기관은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SK에코플랜트, KAIST, 한남대학교, 호서대학교, 한국전자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지주, SK증권, 충남창조경제혁신센터, 시너지아이비투자, 이앤벤처파트너스 등이다.
협약 기관들은 △반도체 오픈이노베이션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공동협력 △반도체 종합서비스 혁신기업 발굴 및 성장 지원 △반도체 분야 창업기업의 발굴‧육성을 위한 투자유치 연계 지원 등을 위해 함께 협력할 예정이다.
특히 특구재단은 이번 협약을 통해 반도체 산업에 특화된 기술을 발굴하고 대기업·공공기관·연구기관과의 유기적 협력을 통해 반도체 산업 선순환 생태계 조성에 적극 기여할 계획이다.
특구재단은 2023년부터 SK에코플랜트와 ‘에코 오픈 플랫폼’을 공동 운영해왔고 올해부터는 협력 범위를 기존의 친환경 분야 중심에서 반도체 산업 전반으로 확대해 ‘반도체 산업 특화 개방형 혁신 프로그램’으로 새롭게 추진할 예정이다.
이번 프로그램은 SK에코플랜트의 반도체 종합서비스 분야 혁신기술이 중심으로 △EPC 생산성 제고 △용수처리 고도화 △부산물 재활용 등과 관련된 반도체 기술 발굴을 목표로 한다.
프로그램은 기술개발 단계와 사업화 단계로 나눠 운영하며 기술개발 단계에서는 기술 발굴부터 공동기술개발까지, 사업화 단계에서는 정부자금과 외부 투자금 유치를 돕는다.
특구재단 정희권 이사장은 “그동안 특구재단 중심으로 추진해오던 활동을 산·학·연·관 등 다양한 주체와의 협력으로 확대함으로써 더 큰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며 “특구내 유망 딥테크 기업들이 대기업 및 공공기관과 지속적으로 협력해 혁신 성장을 이루고 반도체 산업의 선순환 생태계가 조성될 수 있도록 전방위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