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청렴문화 활성화와 투명한 공직 사회 조성을 목표로 한 ‘반부패·청렴정책 추진계획’을 수립하고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27일 밝혔다.
종합청렴도 평가 1등급 달성을 목표로 한 이번 계획에는 5대 전략과 20개 세부 과제가 담겼다.
시는 반부패 관련 제도 정비와 부패취약분야 집중 개선, 범부산 청렴파트너십 구축, 청렴 조직문화 확산, 시민 참여형 청렴도시 조성을 주요 전략으로 설정했다.
이를 통해 건전한 공직 풍토를 강화하고 시민과 함께하는 청렴문화를 확산할 방침이다.
먼저 시는 공무원 행동강령 및 이해충돌 방지제도를 정비하고 부패취약 행정 분야를 대상으로 한 ‘찾아가는 청렴 상담’을 전 부서로 확대한다.
또한 빅데이터와 AI를 활용해 청렴도 평가 결과를 분석하고 개선 과제를 도출하는 등 전문성을 높일 계획이다.
아울러 지난해 출범한 청렴연합동아리 ‘청렴 바이브’를 모든 구·군으로 확대 운영하며 시와 산하기관 간 소통을 강화해 공공기관의 동반 청렴도 상승을 도모한다.
내부적으로는 맞춤형 청렴교육과 캠페인을 통해 자발적인 실천을 유도하고 외부적으로는 시민감사관의 시정 참여 확대 및 SNS 채널을 활용한 소통 강화를 추진한다.
박형준 시장은 “전문적 분석과 체계적인 대책으로 부패취약분야를 개선해 올해 종합청렴도 1등급 달성을 이루겠다”며 “투명하고 공정한 공직 질서 확립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