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직 대통령 최초로 탄핵 심판 최종 의견 진술에 나선 윤석열 대통령이 67분 만에 연설을 종료했다.
25일 윤 대통령은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린 11차 변론에 출석해 67분간의 최후진술을 마치고 퇴장했다.
이날 그는 약 1만 4800자 분량의 최후진술서를 통해 거대 야당을 비판하며 비상계엄 선포의 정당성과 불가피성을 강조했다. 77페이지에 달하는 최후진술 문서를 통해 윤 대통령은 "국민께 죄송하고 감사하다"면서도 "거대 야당"을 44번 언급했다. ‘간첩’은 총 25번, ‘위기’가 22번, ‘북한’이 15번, ‘안보’가 14번 언급됐다.
윤 대통령은 "거대 야당은 제가 취임하기도 전부터 대통령 선제 탄핵을 주장했고 줄 탄핵 입법 폭주 예산 폭거로 정부의 기능을 마비시켜 왔다"며 "거대 야당은 이러한 폭주까지도 국회의 정당한 권한 행사라고 강변한다"고 주장했다.
또 윤 대통령은 북한을 비롯한 외부 주권 침탈 세력과 우리 사회 내부 반국가세력이 연계해 국가 안보를 위협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런 상황에서 "국정 마비와 자유민주주의 헌정질서 붕괴를 막고 국가 기능을 정상화하기 위해 절박한 심정으로 비상계엄을 선포한 것"이라며 "12·3 비상계엄 선포는 국가가 위기 상황과 비상사태에 처해 있음을 선언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윤 대통령은 “비상계엄의 목적이 망국적 위기 상황을 알리고 주권자들께서 나서주시기를 호소하고자 했던 것이다. 이것만으로 목적을 상당 부분 이루었다는 생각”이라고 밝혔다.
다만 "비상계엄의 목적은 이미 달성했다"며 "직무에 복귀하면 잔여 임기에 연연하지 않고 개헌에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윤 대통령은 “잔여 임기에 연연해하지 않고 개헌과 정치개혁을 마지막 사명으로 생각해 87체제 개선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