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의 친기업 정책이 강화된다. 기존 대기업 신규투자 지원에 중소기업도 포함했으며, 시에 한정했던 기업현장 지원 전담조직을 인허가 업무를 받아야 하는 외부 기관으로 확대해 원스톱 처리가 가능해진다.
울산시는 기업현장 지원 전담조직 회의를 통해 지원 범위를 확대하기로 했다고 23일 밝혔다.
먼저 울산시는 지난해부터 시와 5개 구·군이 통합해 운영 중인 기업현장 지원 조직에 한국전력, 한국수자원공사, 울산항만공사 등 공장 인허가와 관련한 외부기관 10여 곳을 추가로 포함한다. 지자체 이외 인허가 업무를 받아야 하는 기관들과도 기업 애로사항을 공유해 기업의 민원을 한 번에 처리하는 원스톱 지원 체계를 구축하겠다는 계획이다.
앞서 지난 13일 울산시는 공장건립 인·허가 기간 단축 지원과 같은 대기업 지원 방식을 중소기업에도 똑같이 적용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중소기업 지원 ‘권역별 현장지원 책임관제’를 운영하기로 결정했다. 현재 20개 기업이 투자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들 20개 기업에 권역별 담당 공무원을 지정해 사업 완료 때까지 부서 협의와 안내, 각종 인허가를 지원한다.
울산시가 기업현장 지원 조직을 만든 것은 민선 8기가 들어선 2022년이다. 이를 통해 현대자동차 전기자 전용공장 인허가 기간을 기존 3년에서 10개월로 단축했다. 덕분에 지난 2023년 11월 기공식을 열 수 있었던 울산EV신공장은 올해 준공한 뒤 내년 1월부터 양산에 돌입할 계획이다. 또 삼성SDI의 배터리 및 양극재 상산 공장 인허가 역시 3년에서 6개월로 줄였고, 9조 2000억 원이 투입되는 에쓰오일의 샤힌 프로젝트도 대규모 공장부지 내에서 여러 건의 건축행위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게 하는 등 각종 현장지원으로 공정률 55%를 넘어서며 차질 없는 공사를 이어가고 있다.
이 같은 노력으로 울산시는 김두겸 시장이 취임한 2022년 7월부터 지난해 12월까지 532개 기업이 울산에 새로 입주하거나 공장 신설과 재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투자액은 모두 23조 6745억 원에 이른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기업의 현장 목소리를 직접 듣고, 기업이 겪고 있는 어려움을 적극 해소할 수 있도록 현장 지원을 더욱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