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정 경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가 대전 초등생 피살사건의 본질이 우울증과 무관한 ‘묻지마 살인’이라는 분석을 제기했다.
13일 이 교수는 YTN 라디오 ‘이익선 최수영 이슈앤피플’에 출여해 “우울증은 이런 종류의 폭력 행위와 전혀 인과관계가 없다”고 단언했다. 이어 “매년 2만 명 이상의 교사가 우울증 치료를 받고 있는데 우울증을 범행 동기로 지목하는 것은 그 분들이 다 사회 부적응자가 아니냐는 낙인을 초래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가헤 교사가 복직 3일만에 ‘짜증이 났다’고 얘기한 것에 주목했다. 이 교수는 “결국 짜증이 나서 이런 일이 벌어졌다는 것으로 보이는데 우울증보다는 성격적으로 문제가 심각하게 있었던 것 같다. 해당 교사가 복직 후 여러 폭행 행위가 보고됐다”며 “사건 5일 전에는 컴퓨터가 잘 안 된다고 컴퓨터를 기물 파손하는 등 지속적인 문제 행동이 있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번 사건이 ‘묻지마 살인’과 유사한 패턴을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 교수는 “피해망상을 동반한 조현병이나 극도의 반사회적 성격장애자들은 결국 본인의 분풀이 혹은 방어 목적으로 가장 방어 능력이 떨어지는 대상을 골라 복수극을 벌인다”라며 “여성이고 어른이고 근무하던 사람이다보니까 그 공간 내에서 가장 방어 능력이 떨어지는 아이를 선택했을 개연성이 굉장히 높다”고 했다.
범행의 치밀성에도 주목했다. 이 교수는 “장학사와의 불리한 면담 후 점심시간에 무단으로 외출해 흉기를 구매했고 CC(폐쇄회로)TV가 없는 방음 시설을 갖춘 시청각실을 범행 장소로 선택한 것”이라며 “정신 질환에 기인해 피해망상, 정식착란 상태에서 일어난 우발적 살인 사건과는 거리가 멀다. 치밀하게 계획된 정황이 보이는 만큼 심신미약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분석했다.
더불어 “우울증 환자들이 일반적으로 자해 가능성이 높은데 그런 유형들과는 동기가 다르다”라며 “다른 교사들에게 ‘왜 나만 불행하냐’ 등의 얘기를 했다. 그게 상당 부분 반사회적인 사고를 보여주는 코멘트였을 개연성이 굉장히 높다”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 10일 오후 6시께 대전 서구의 한 초등학교에서 8세 김하늘양과 40대 여교사 명 모 씨가 흉기에 찔린 채 발견됐다. 하늘양은 심정지 상태로 병원으로 이송됐으나 사망했다. 명 모 씨는 응급 수술을 받은 후 중환실에서 회복 중이다.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명 모 씨는 수술실에 들어가기 전 경찰에게 “내가 범행했다”며 “아이와 함께 죽으려 했다”고 자백했다. 현재 경찰은 명 모 씨의 자택과 차량을 압수수색하고 휴대전화 디지털 포렌식을 진행 중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