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기 건강관리의 새로운 키워드로 떠오른 ‘근육 적금’이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성별에 따라 효과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근육 적금은 은행 적금처럼 젊을 때부터 근육을 쌓아두는 것을 의미한다.
11일 삼성서울병원에 따르면 박준희 삼성서울병원 건강의학본부 교수와 원장원 경희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연구팀은 70~84세 노인 163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이중 근감소증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을 각각 연령대와 성별이 같도록 353명씩 짝지어 뽑아 2년동안 추적 조사했다.
연구 결과 근감소증이 없는 남성 노인은 팔·다리 근육량이 1kg 증가할 때마다 심혈관 질환 위험이 41%, 고지혈증 위험은 28% 감소했다.
반면 여성 노인의 경우 이른바 ‘비만의 역설’ 현상이 나타났다. 근감소증이 없는 여성은 근육량 증가가 심혈관 질환 예방에 효과가 없었으며 오히려 체중이 1kg 늘수록 고지혈증 위험이 21% 줄어드는 결과를 보였다.
특히 근감소증이 이미 진행된 노인의 경우 뒤늦은 근육량 증가는 심혈관·대사 질환 에방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감소증이 있는 여성 노인은 근육량을 늘렸을 경우 고지혈증 위험이 3배 높아졌는데 연구팀은 근육 내 지방 축적이 원인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연구팀은 “남성 노인은 근육량을 키우는 것만으로도 도움이 되지만 여성 노인은 근육량을 늘리는 것보다는 유산소 운동 등을 병행하며 근육 내 지방 축적을 막는 것이 심혈관·대사 질환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분석했다.
이어 “건강한 노년을 보내기 위해서는 근감소증이 생기지 않도록 평소에 꾸준히 근육량을 유지하고 본인에게 맞는 운동을 통해 미리 ‘근육 적금’을 들어야 건강한 100세 시대를 보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유럽의 폐경 및 남성 갱년기 학회 공식 학술지 ‘마투리타스(Maturitas)’에 게재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