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생성형 인공지능(AI) 딥시크에 대한 정보 유출 우려가 커지며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잇따라 딥시크 접속 차단에 나섰다.
6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대웅제약은 이날부터 임직원 업무 PC에서 딥시크 접속을 차단키로 했다. 대웅제약 관계자는 “챗GPT와 달리 정부 부처에서 딥시크를 잇따라 차단하고 있다”며 “정보 유출 등을 막기 위해 회사에서 접속하는 서버랑 모든 PC에서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고 설명했다.
한미약품그룹도 이날 임직원 업무 PC에서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고 직원들에게 ‘ 안전한 생성형 AI 사용 가이드’를 전달했다. 한미약품그룹 관계자는 “정보보호위원회에서 정보 유출 우려를 이유로 딥시크 사용을 차단했다”고 전했다.
유한양행은 보안상 이유 등으로 딥시크나 챗GPT 등 생성형 AI를 사내에서 사용하지 않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또한 정보 보안 유출 위험성 등을 고려해 이미 지난해부터 챗GPT 등 AI 관련 사이트를 차단 중이며 중국 딥시크도 출시 후 즉시 차단한 상태다. 이 외에 카카오헬스케어가 AI 사내 활용 정책에 따라 딥시크를 사내 업무 목적으로 사용을 지양한다고 이번 주에 안내한 것으로 알려졌다. 셀트리온은 딥시크를 포함한 AI 사용 방침과 관련해 사내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있다.
제약·바이오 업계가 연이어 딥시크 차단에 나섰지만 AI를 활용한 신약 개발에 영향은 없을 전망이다. JW중외제약 관계자는 “자체 AI 신약개발 플랫폼을 활용하고 있어 외부 생성형 AI와 관련이 없다”고 전했다. 대웅제약과 한미약품도 신약개발에 있어 자체 AI 플랫폼 활용하고 있다. 루닛과 헬스케어 스타트업 숨빗AI도 자체적으로 AI 모델을 개발하고 있어 딥시크 등 타사 모델을 사용하지 않고 있다.
정부 부처들도 딥시크 접속 차단에 대거 나서며 보건복지부도 이날 딥시크에 대한 임시 접근 차단 조치를 내렸다. 복지부 관계자는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연금공단, 보건산업진흥원 등 산하기관에도 딥시크 접속을 차단할 것을 안내했다”고 전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도 안전 문제를 이유로 딥시크에 대해 임시 접속차단 조치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