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신용평가가 최근 국내 메모리 반도체 업계의 주가 급락을 야기한 ‘딥시크(DeepSeek) 쇼크' 여파가 단기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인공지능(AI)반도체 대장주 엔비디아의 시장 지배력이 약해질 경우 국내 메모리 업체도 함께 피해를 입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신평은 4일 ‘메모리 반도체 산업 2024년 4분기 및 연간 잠정실적 분석’ 보고서에서 딥시크 이슈가 국내 메모리 업체 단기 실적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애플, 구글 등 미국 거대 기술 기업(빅테크)들이 잇달아 지난달 실적 발표에서 AI 산업 내 중국 딥시크 영향력을 명확히 판단하기는 이르다며 투자 확대 기조를 유지할 것임을 언급했기 때문이다.
AI 반도체 핵심 부품인 고대역폭메모리(HBM)의 올해 판매 계약이 모두 끝났다는 점도 딥시크 충격을 제한하는 요인이다. 김정훈 한신평 수석연구원은 “1년 내외의 사전 계약을 토대로 판매가 이루어지는 HBM 공급 구조상 올해 연간 판매 물량과 판가의 변동 가능성이 작다”고 설명했다.
김 연구원은 다만 중장기적으로 비용 효율성에 중점을 둔 중저가 AI 칩 투자 기조가 확대될 경우 고성능·고비용의 가속 연산 칩을 독점적으로 제공하던 엔비디아의 시장 지배력이 약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이 경우 엔비디아를 주요 판매처로 삼고 있는 국내 메모리 반도체 업계에도 불똥이 튈 것이라는 분석이다. 김 연구원은 “엔비디아에 고성능 HBM 공급 여부에 따라 차별화되던 최근 AI 메모리 업황 흐름이 재차 물량 및 가격 중심으로 변동되는 등 영업 환경이 변화할 수 있다”고 짚었다. 그는 이어 “미·중 패권경쟁, 전 세계 보호무역주의 기조 강화 등 다양한 불확실성이 상존해 있는 탓에 예상치 못한 수요 둔화가 발생할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덧붙였다.
김 연구원은 AI를 제외한 PC, 모바일 등 전통 정보통신(IT) 제품은 올해에도 수요 회복이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재고 부담이 여전히 남아있는 데다 AI PC나 스마트폰의 경우 단가가 높게 형성돼 있고 전용 애플리케이션도 부족한 상태라 대중화까지는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김 연구원은 “높은 가격과 AI용 애플리케이션 부족 등이 AI 기반 제품 수요 성장을 제약하고 있어 단기간 내 IT 제품 수요가 증가할 가능성은 크지 않아 보인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