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현지시각) 블룸버그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등 SNS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는 메타는 딥시크의 기술을 분석하기 위해 AI 부서 내에 워름 4개를 설치했다. 메타는 딥시크가 AI 훈련 비용을 어떤 방식으로 절감했고 어떤 데이터를 활용해 기술에 적용했는 지 등을 알아낼 방침이다.
딥시크는 중국의 AI 스타트업으로, 최근 추론형 AI인 '딥시크-R1'을 공개했다. 딥시크-R1은 스스로 답을 검증하고 추론을 해 할루시네이션을 여러 단계에 걸쳐 보완하고 정확한 답을 찾아가는 AI로, 최근 일부 성능 시험에서 오픈AI의 'o1' 모델을 앞지르기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비스 가격 또한 오픈AI 대비 저렴한 수준이라 미국 실리콘밸리에 집중돼 있던 AI 경쟁 구도의 판도를 바꿨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실리콘밸리에서는 딥시크의 기술에 대한 찬사와 경계가 이어지고 있다. 앞서 알렉산더 왕 스케일AI 최고경영자(CEO)는 딥시크의 기술을 과거 구소련이 인류 최초로 인공위성 발사에 성공해 충격을 줬던 사건에 빗대며 "지구를 뒤흔들 것"이라고 평가했다.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MS) CEO는 "추론 연산을 수행하는 오픈소스 모델을 효과적으로 만들었다"며 "중국의 개발을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밝혔다.
미국 정부의 수장인 트럼프 대통령은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오픈 AI, 일본의 소프트뱅크, 미국의 오라클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스타게이트'로 불리는 1000억 달러(한화 약 143조 원)AI 펀드를 출범한다고 밝혔다.
미국은 향후 다른 기업도 프로젝트에 참가시켜 투자금을 최대 5000억 달러(한화 약 720조 원) 규모로 확대할 방침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