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특검팀(특별검사 민중기)이 7일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에 재차 나섰지만 결국 실패했다. 기한 마지막 날 윤 전 대통령에 대한 체포가 무산된 만큼 특검팀은 체포영장 재청구, 기소를 놓고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팀은 이날 오전 8시 25분께 윤 전 대통령을 상대로 체포영장 집행을 시도했다가 9시 40분께 중단했다. ‘윤 전 대통령이 완강하게 거부해 부상의 우려가 있다’는 현장 보고를 받고 체포영장 집행을 포기했다는 게 특검팀 설명이다. 당초 특검팀은 이날 오전 9시 집행에 나설 계획이었다. 하지만 윤 전 대통령 측이 변호인 접견을 신청하면서 일정이 1시간 앞당겨졌다. 특검팀의 두 차례 체포영장 집행이 무산되면서 일각에서는 강제 구인의 현실적 한계가 드러났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검은 윤 전 대통령을 상대로 체포영장 재청구나 방문 조사, 또는 곧바로 기소하는 방안 등 다양한 대응책을 검토할 예정이다.
오정희 특검보는 이날 브리핑에서 “최소한의 물리력을 사용했고 부상 위험 보고에 (집행을) 중단했다”며 “법원이 발부한 영장에 따른 적법한 집행이었다”고 강조했다. 반면 윤 전 대통령 측 변호인단은 같은 날 기자회견에서 “10여 명이 달라붙어 앉아 있는 윤 전 대통령의 양쪽 팔과 다리를 붙잡고 차량에 탑승시키려 했다”며 “윤 전 대통령이 땅에 철썩 떨어졌다”고 비판했다. 이어 “윤 전 대통령이 ‘팔을 잡아당겨 팔이 빠질 것 같아 제발 놓아달라’고 말했다”고 덧붙였다. 변호인단은 특검을 상대로 한 고발장 접수를 예고했다.
한편 이달 1일 진행된 1차 체포영장 집행과 관련해 시민단체인 서민민생대책위원회가 민중기 특검을 대검찰청에 고발했다. 체포 실패 이후 특검이 윤 전 대통령이 속옷 차림으로 저항했다는 사실을 공표한 행위가 모욕 혐의에 해당한다는 취지다. 고발 대상에는 정성호 법무부 장관과 전현희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포함됐다. 정 장관은 특검의 발표를 인용해 ‘전직 대통령의 행태가 민망하다’ 등의 부적절한 발언을 했다는 이유로 고발됐다. 전 의원의 경우 사건 당일 유튜브 채널에 출연해 윤 전 대통령을 조직폭력배에 비교하는 등 모욕적 언사를 했다고 서민위는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