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코로나19 감염병 위기 단계를 ‘심각’에서 ‘경계’로 한 단계 낮춘 후 확진자·사망자 수가 증가 추세로 접어들었지만 전문 대응 의료 인력은 지난해보다 약 9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재유행 경고등이 켜진 상황에서 의료 대란 재연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12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영주 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부의장)이 보건복지부·질병관리청 등에서 확보한 자료에 따르면 정부가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파견한 의료 인력 수는 지난해 7988명에서 올해 112명으로 98.6% 줄어들었다.
세부적으로는 △의사 95.6%(1482명→66명) △간호사 99.2%(4221명→34명) △요양보호사 98.8%(735명→9명) △임상병리사 99.6%(543명→2명) △방사선사 100%(145명→0명) △간병인 100%(62명→0명) 등의 비율로 감축됐다.
코로나19 지정 병상(8월 기준)도 2월과 비교해 82.8%(3880개→668개) 감소했다. 감소 비율은 중증 병상 73.9%(1045개→273개), 준중증 병상은 80.8%(2052개→395개)였다. 중등증 병상은 3월부터 운영이 종료됐다.
반면 코로나19 확진자와 사망자 수는 꾸준히 우상향 추세다. 8월 기준 확진자 수는 137만 명으로 3월(30만 명) 대비 4배 넘게 늘었고 같은 기간 사망자 수도 288명에서 621명으로 2배가량 증가했다. 김 의원은 “치명률이 감소했다지만 아직도 100만 명 이상의 확진자가 발생하고 사망자는 수백 명에 달한다”며 “정부는 겨울철 재유행 대비를 위한 코로나19 전문 의료 인력 및 시설 확충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