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의 ‘이태원 참사’를 막기 위해 정부가 할로윈 등 주최자 없는 지역 축제에 대해서도 본격적인 안전관리에 나선다. 또 100만명 이상이 몰릴 것으로 예상되는 불꽃축제의 경우 정부합동안전점검을 실시한다.
행정안전부는 다음 달 30일까지 이러한 내용을 골자로 하는 ‘가을철 인파밀집 안전관리 대책 기간’을 운영한다고 3일 밝혔다.
우선 10월31일 할로윈 데이를 기념해 주말(10월27~28일) 동안 용산구(이태원), 마포구(홍대) 등에서 주최자 없는 축제 개최와 인파 밀집이 예상되는 만큼, 축제 이전부터 행안부 상황관리관(과장급)을 파견해 지자체와 합동점검을 하고 현장상황관리를 실시한다. 행안부 관계자는 “향후에도 성탄절, 연말연시, 봄꽃 등 인파밀집이 우려되는 주최자 없는 축제에 대해 지속적인 안전관리를 시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가을철은 선선해진 날씨와 함께 사계절 중 가장 많은 지역 축제가 열리는 시기다. 10월에만 약 595건의 축제가 개최된다. 많은 인파가 참여하는 만큼 최근 4년(2019~2022년) 간 지역 축제 중에 발생한 안전사고 32건 중 절반인 16건이 가을철에 발생했다.
행안부는 주최자가 있는 지역축제에 대해서도 안전점검 대상을 확대해 그간 월별 7곳 수준으로 실시했던 지역축제 표본점검 대상을 10월에는 40여 곳으로 확대한다. 특히 인파 분산?통제, 구조?구급 대책 등 안전관리 상황을 집중 점검할 방침이다.
아울러 100만 명 이상의 대규모 인파가 예상되는 지역축제는 정부합동 안전점검을 실시해 행사 준비단계부터 적극적인 안전관리를 추진한다. 대표적으로 오는 7일 열리는 서울세계불꽃축제(105만명 예상)와 다음 달 4일 개최되는 부산불꽃축제(100만명 예상)는 많은 인파와 함께 화약류 사용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우려됨에 따라 행안·소방·경찰 등으로 구성된 정부합동안전점검을 실시한다. 또 인파관리, 화재 안전, 환자 구조·구급 계획 등 안전관리 전반을 점검할 계획이다.
이 외에도 정부는 지역축제 안전관련 위험요인 집중 신고 기간을 운영한다. 대책 기간 중 인파밀집 등 위험징후가 발견될 경우 ‘안전신문고’를 통해 신고할 수 있도록 하고, 신고된 사항은 시군구에서 신속하게 확인·조치하고 조치결과를 회신할 예정이다.
이상민 행안부 장관은 “지자체 등 관계기관과 함께 인파 사고 등에 대비한 철저한 안전관리를 통해 국민께서 안전하게 축제를 즐기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