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형 인공지능(AI) 플랫폼 ‘챗GPT’ 열풍에 주요 지자체들이 앞다퉈 관련 서비스를 선보이며 뛰어들고 있다. 챗GPT를 각종 행정 업무에 접목해 주민 편의성과 행정 효율성을 높이겠다는 계획이지만 일각에서는 단순히 인기에 편승해 선신성 정책을 쏟아낼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16일 각 지자체에 따르면 챗GPT 열풍에 가장 발 빠르게 대응하고 나선 곳은 경북이다. 경북연구원은 최근 지자체 최초로 정책 지원 AI 서비스인 ‘챗GDI’를 공개했다.
챗GPT를 경북에 맞게 바꾼 AI 챗봇인 챗GDI는 경북의 정책 개발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와 지식을 정리해 제공한다. 경북연구원은 지난해 11월부터 자체 연구팀을 꾸려 민간과 협력해 AI 플랫폼을 도정에 활용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해왔다. 챗GDI는 경북연구원이 보유한 정책자료 등을 이미 학습했고 앞으로 경북도 각 실·과 및 23개 시·군이 보유한 정책자료도 넘겨받아 학습을 진행할 예정이다.
유철균 경북연구원장은 “지자체 싱크탱크 가운데 가장 먼저 정책 지원 AI 서비스 모델을 개발해 정책 지원 기능을 강화했다“며 ”초거대 AI 플랫폼에 대처하지 못하면 인구와 자원의 수도권 집중은 더욱 가속화될 수 밖에 없기에 정보화에는 늦었지만 지능화에는 앞서 가야 한다”고 말했다.
아직 시범 서비스 중이지만 챗GDI는 기존에 학습한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기대 이상의 답변을 내놓는다. ‘2차전지산업 육성을 위한 경북의 대응 전략’을 질문하면 챗GDI는 적극적인 투자 유치, 지역 밀착형 산업 생태계 조성, 산업 생태계 업그레이드, 체계적인 인력 양성을 전략으로 제시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AI 플랫폼을 잘만 활용하면 공무원이 한명의 비서를 두는 것과 마찬가지 효과를 볼 수 있다”며 “챗GPT를 업무에 적극 활용해 공무원은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창의적인 정책을 수립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단순 업무는 AI 플랫폼이 대체할 수 있는 만큼 공무원은 창의적이고 현장 중심의 행정을 펼쳐 문제의 본질 해결에 집중하라는 주문이다.
타 지자체도 챗GPT 열풍에 가세했다. 전남도는 이달 초 챗GPT를 활용해 대민 서비스를 개선하고 도정 아이디어를 발굴하기 위해 전담팀을 구성했다. 기획조정실장을 단장으로 MZ세대 공무원, 민원팀 관계자, AI 분야 전문가 등 30명으로 구성했다.
경기도는 행정1부지사를 단장으로 하는 ‘경기GPT’ 전담팀을 구성해 AI를 도정에 접목하기 위한 연구에 본격적으로 나서기로 했다. 경기도 및 산하기관 전 직원을 대상으로 챗GPT의 도정 활용 방안에 대한 제안 공모를 이달 중 실시하고 공론화를 위한 정책포럼도 20일 개최한다.
다음달부터는 정책 보고서와 프리젠테이션 자료 작성에 AI를 적극 활용하고 경기연구원은 이슈 보고서 등을 작성할 때 챗GPT를 우선 활용할 방침이다. 네이버와 카카오 등 소프트웨어기업을 중심으로 ‘AI기업협의체’도 발족해 간담회를 진행할 예정이다.
경기도의 한 관계자는 “챗GPT의 활용성이 아직 체계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만큼 무조건 맹신해서는 곤란하다”며 “실질적인 행정 효율성이 나올 때까지는 보조적 역할로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