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표 국회의장은 3일 개헌 방향과 관련 “너무 많은 것을 다 하려다보니 이해관계가 다른 집단이 이견을 제시해 힘이 들어 못했다”며 “최소 개헌의 원칙으로 가야 한다”고 밝혔다.
김 의장은 이날 라디오(KBS) 인터뷰에서 “여당이나 대통령, 야당과 국민도 그만하면 됐다 할 정도의 최소한, 선진국과 경쟁해 이길 수 있는 국가 경영 방식 등 몇 가지 동의할 수 있는 것만 갖고 개헌하면 성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의원내각제 도입에는 “우리나라는 국회에 대한 불신이 80%에 달하고 대통령 직선제에 대한 자부심이 있어 이 두 가지가 달라지기 전엔 대통령제는 유지될 수밖에 없다”고 내다봤다.
그 대신 국무총리가 실질적인 내각 조각권 등을 행사할 수 있는 방식으로 총리 임명 방식이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의장은 “(총리에게) 국무위원 임명 제청권이 있는데 제대로 발휘가 안 된다. 총리 임명에 대통령이 전권을 행사하기 때문”이라며 “국회가 2명을 추천해 대통령이 선택하거나 대통령이 2명을 추천해 국회가 표결로 정하면 그렇게 당선된 총리는 좀 다르게 행동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대통령 결선투표제 도입에 대해서는 “정치권에서 선거 때마다 단일화 싸움이 중요 이슈를 이루는데 결선투표가 되면 그럴 필요가 없다”며 “그런 점에서 다당제를 만드는 전제가 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선거제도 개편과 관련해선 비례대표 의석 수를 확대하되 선출 방식을 바꿔야 한다고 했다. 김 의장은 “지금은 비례대표 후보를 각 정당이 자의적으로 결정할 수 있게 돼 있다”며 “비례대표도 국민의 대표이니 국민의 의사가 반영될 수 있도록 선출해야 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