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월 발생한 '미 의회 폭동' 사건을 조사하는 의회 특위가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을 청문회에 소환하기로 전격 결정했다. 하지만 트럼프 전 대통령이 격렬히 반발해 실제 소환이 이뤄질지는 미지수다.
13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미 하원 1·6 의회난입조사특위는 이날 9번째이자 마지막인 공개 청문회를 마친 후 투표를 거쳐 만장일치로 트럼프 전 대통령 소환을 의결했다. 민주당 소속 베니 톰슨 위원장은 "트럼프 전 대통령은 1월 6일 발생한 사건의 중심에 있으며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그의 답변을 듣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공화당 소속 리즈 체니 부위원장도 "모든 미국인은 그 답변을 들을 자격이 있다"고 강조했다.
1·6 미 국회의사당 폭동은 트럼프 전 대통령 지지자들이 2020년 대선 결과 부정선거설을 주장하며 의사당을 무력 점거했다가 진압된 사건이다. 당시 의회에선 조 바이든 현 대통령에 대한 대통령 인준이 진행되고 있었다. 의사당 무력 폭동은 사상 초유의 일인데다가 진압 과정에서 5명의 사망자까지 나오며 미국 사회에 큰 충격과 상처를 남겼다. 이후 하원은 진상조사 특위를 결성해 공개 청문회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개입 정황 등을 폭로해 왔다. 특위가 지금까지 조사한 관계자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자녀, 보좌관과 군·경찰 고위 관리 등을 포함해 1000명이 넘는다. 조사가 거의 마무리된 만큼 사건의 가장 핵심에 있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직접 증언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것이다.
하지만 트럼프 전 대통령이 소환에 응할지는 미지수다. 전직 대통령에게 재임 중 있었던 일을 증언하라고 강제할 수 있는 권한이 의회에 있는지부터가 불분명하다. NYT는 "(이에 관한) 대법원 판례가 없다"며 "다만 시어도어 루스벨트,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 허버트 후버, 해리 트루먼, 제럴드 포드 등 몇몇 대통령이 의회에서 자발적으로 증언을 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 전·현직 대통령이 의회의 소환 요청을 받은 것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7번째다.
무엇보다도 트럼프 전 대통령이 소환 의결 소식에 즉각 반발했다. 그는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인 '트루스소셜'에 글을 올려 "왜 나에게 일찍부터 증언을 요청하지 않았을까. 왜 그들은 마지막 회의의 마지막 순간까지 기다렸을까"라며 "특위는 미국을 분열시키는 데만 골몰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에 트럼프 전 대통령이 소환에 응하지 않을 경우 이에 따른 처벌 여부 등을 놓고 법적 공방이 이어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