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기술연구원은 서울시의 기존 수해방지 대책을 강화할 수해 최소화 기술 8종을 마련해 서울시에 제안했다고 21일 밝혔다.
서울기술연구원은 수해 원인별로 수해 최소화 솔루션을 제시했다. 우선 반지하 가구 소멸 전까지 거주자를 위한 방수 대책 방안, 침수 취약가구 지원시스템 미작동 사유 분석 및 대책, 폭우 피해가 적었던 지하 도시고속도로의 원인 벤치마킹 기술 등을 주요 대책으로 제안했다.
이어 폭우 등 재해상황 시 철도·버스 호환 교통정보 제공 개선 방안, 물 웅덩이 없는 도로 구현을 통한 차량 전복 및 사고 감소 기술, 건설 현장 감전사고 대책, 헷갈리는 침수 피해 용어 일원화, 맨홀 뚜껑 역류 방지를 위한 기술 등도 실현 가능한 기술로 제시했다.
세부적으로는 침수 취약가구를 위한 방안으로 사물인터넷(IoT) 스마트 침수 감지센서 설치, 침수 취약지역의 기존 건축물에 침수방지 시설 설치, 현관 대피가 불가능한 비상 시 내부에서 쉽게 탈출이 가능한 방범창 등의 대책을 제안했다.
또 상습 침수가 잇따르는 한강변에 대해서는 가변식 차수벽 및 강변북로 인프라 개선을 제안했다. 한강변 상습 침수 및 일부 저지대 구간에 가변식 차수벽을 설치하고 한강의 홍수위 여유 높이보다 높게 월류 방지용 옹벽을 설치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들 지역에 개착식 옹벽이나 지하차도를 설치하는 것도 대안으로 제시했다.
연구원은 폭우 피해와 관련한 용어도 일원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근 서울시 침수 피해 관련 언론보도에서 범람(氾濫), 침수(浸水) 등의 단어가 실제 피해 상황과 다르게 혼용되고 있어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예컨대 강우량을 표기할 때 ‘시간당 100mm’로 일원화해 최대한 정확한 강우량을 안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게 연구원의 설명이다.
임성은 서울기술연구원장은 “최근 기후 변화로 인한 이상 기후 현상으로 국지성 폭우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으며 이번의 기록적인 폭우는 서울시의 풍수 관리 시스템에 대한 기술적 대책 마련 필요성을 재확인하게 했다”며 “데이터 분석과 체계적 예측 시스템, 원인별 전략 수립을 통해 사전 예방체계로의 전환이 절실한 시점인 만큼 앞으로 풍수해에 안전한 서울을 위해 섬세한 기술적 해결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