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광수(사진) 은행연합회장이 “대선 과정에서 금융 산업 자체를 육성하기 위한 공약이 많이 보였으면 한다”며 대선 주자들에 대해 쓴소리를 날렸다. 금융을 정책 달성의 수단으로만 여길 뿐 하나의 ‘산업’으로 보고 육성하겠다는 대선 공약은 잘 눈에 띄지 않는다는 것이다.
김 회장은 26일 신년 기자 간담회에서 “코로나19에 따른 금융 지원, 불평등과 양극화를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대선 금융 공약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다”면서도 이같이 말했다. 김 회장은 “금융은 청년들이 희망하는 고급 일자리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산업”이라며 “다른 산업과 같이 자유로운 경영 환경과 다양한 지원을 필요로 한다”고 설명했다. 이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금융권을 동원한 선심성 정책을 남발하자 금융 경쟁력 약화 우려를 표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들 대선 후보는 기본대출, 법정 최고 금리 추가 인하, 금융 공기업 지방 이전 등을 공약한 상황이다.
김 회장은 “은행들이 데이터·플랫폼 경쟁력을 강화하고 금융·비금융 서비스 융합으로 ‘금융의 넷플릭스’가 되고자 노력하고 있다”며 “금융의 생활 서비스 진출, 각종 데이터 활용을 제약하는 규제 개선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김 회장은 “넷플릭스가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단순히 좋은 콘텐츠를 만들고 보유하는 것뿐만 아니라 방대한 고객 데이터를 기반으로 맞춤형 콘텐츠를 추천하고 가장 트렌디한 프로그램을 기획할 수 있었기 때문”이라며 “은행권도 데이터 경쟁력을 강화해야 초개인화된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개발하고 미래 변화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실제 김 회장은 은행과 빅테크 간 ‘기울어진 운동장’을 해소하기 위해 가장 먼저 개선돼야 할 규제에 대해서도 데이터 관련 제도를 꼽았다. 그는 “빅테크는 전자금융법 등을 통해 금융에 진출할 수 있지만 은행의 비금융 진출은 여전히 극히 제한돼 있다”며 “이에 빅테크는 금융과 비금융 데이터를 쉽게 확보하지만 은행은 비금융 데이터 확보가 매우 어렵다”고 지적했다. 올해 초 본격 시행된 마이데이터를 보면 은행은 송금하는 개인적인 동기(적요 정보)까지 빅테크에 제공해야 하지만 빅테크는 인터넷 쇼핑 정보 중 대분류만을, 그나마도 대부분 ‘기타’로 처리한 후 은행에 제공하고 있어 사실상 의미 있는 정보를 받지 못하고 있다.
미국의 급격한 금리 인상 관련, ‘방파제’ 역할을 하는 대손충당금에 대해 김 회장은 “당국이 지적한 것처럼 시장을 보수적으로 보고 적극적으로 쌓고 있다”며 “일각에서 미국에 비해 국내 은행 충당금이 적다고 하지만 우리는 충당금에 더해 대손준비금까지 쌓고 있어 합하면 결코 적은 수준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은행의 사회 공헌 활동을 더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에 대해 김 회장은 “지난 2012년부터 지난해까지 1조 2,000억 원 규모의 공동 사회 공헌 활동을 했고 전 은행이 연평균 1조 원 규모의 사업을 수행했다”면서도 “단순 기부, 일회성 지원에 치중해 체감도가 낮았던 측면이 있으므로 보다 효과적이고 장기적 관점에서 지속 가능하게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