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통안전공단은 화성에 있는 교통안전체험교육센터에서 차종과 속도에 따른 빙판길 제동거리 실험 결과를 17일 발표했다.
이번 실험은 주행속도를 30km/h와 50km/h, 60km/h로 구분해 마른 노면과 빙판길에서 각각 진행했다.
승용차(아반테AD), 화물차(2.5톤 탑차), 버스(에어로시티) 3개 차종을 대상으로 똑 같은 요건에서 3회씩 실험한 측정치 평균값을 비교했다.
시속 30km에서 승용차 제동거리는 빙판길 기준 10.7m로 마른노면(1.5m)에 비해 7배에 달했고, 화물차와 버스는 빙판길에서 각각 4.6배(12.4m), 4.9배(17.5m) 더 미끄러졌다.
속도를 시속 50km로 올린 실험에서는 승용차, 화물차, 버스의 빙판길 제동거리가 시속 30km와 비교해 각각 3.1배, 4.5배, 4.5배로 증가했으며, 시속 60km에서는 4.7배, 6.3배, 6.8배 증가해 차체의 중량이 큰 차종일수록 속도 증가에 따른 제동거리도 크게 늘어났다.
특히, 버스는 시속 60km에서 빙판길 제동거리는 118.7m로 마른 노면(16.2m)에 비해 제동거리가 100m이상 늘어났다.
이와 같은 빙판길 제동거리 증가는 대형교통사고로 이어져 최근 5년간 발생한 결빙노면 교통사고 치사율은 2.9%로 마른노면(1.6%)에 비해 약 1.8배 높았다.
공단 권용복 이사장은 “빙판길에서는 제동거리가 증가할뿐 아니라 조향능력이 상실될 수 있어 충분한 감속과 방어운전이 요구되며 특히, 중량이 큰 화물차와 버스는 빙판길 제동거리가 급격히 증가하는 만큼 겨울철 안전운전을 부탁한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