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요 대기업들이 올해 2분기 채용 계획 인원 가운데 약 40%를 경력직으로 채용할 예정인 것으로 조사됐다. 신입을 뽑아 직원을 키우던 과거 채용 방식이 점차 수시 채용과 경력 중심 채용으로 바뀌고 있다는 분석이다.
한국고용정보원이 16일 발표한 ‘주요 기업 채용 동향 조사’ 결과에 따르면 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 가운데 채용 계획을 세운 137개 기업의 올해 2분기 채용 인원 중 신입 직원 비율은 62.4%, 경력직은 37.6%였다.
신입 직원 채용 비율이 높은 직군(중복 응답 허용)은 영업·마케팅(78.2%), 생산·기술(62.9%), 기타(62.6%), 경영 지원(52.9%) 순이었다. 경력직 채용 비율은 IT(71.4%)와 연구개발(60.2%) 직군에서 높았다. 신입 직원 채용 방법은 공채가 62.7%, 수시 채용이 37.3%였다. 신입 직원 10명 중 4명꼴로 수시 채용으로 뽑는 셈이다. 경력직 채용은 수시 채용이 80.3%에 달했고, 공채는 19.7%에 그쳤다. 조사 대상 기업 중 올해 수시 채용을 확대하기로 한 기업들은 이유로 ‘경영 환경 변화에 빠르게 대처하기 위해 필요 인력 적기 채용’(62.6%)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직·퇴직 등에 대한 즉각 대처로 인력 운용 효율화’(20.6%), ‘직무에 적합한 인력 채용’(16.8%)이 뒤를 이었다.
/세종=양종곤 기자 ggm11@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