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안보지원사령부(안보사)는 이명박 정부 당시 국가정보원의 불법사찰 의혹과 관련해 당시 군 기무사령부(안보사 전신)에서도 관련 지시와 사찰이 있었는지에 대해 “없는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안보사는 17일 국회 정보위원회 업무보고에서 “(의혹이 불거진) 그 이후 많은 수사를 받고 했는데 전혀 자료가 나오지 않았다”며 이같이 밝혔다고 여야 정보위 간사인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이 브리핑에서 전했다.
하 의원은 “국정원이 60년 흑역사를 처리하는 차원에서 다른 데에도 일괄 처리해야 해서 기무사에도 확인해달라고 자료를 요청해놓은 상태”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김 의원은 국정원에 대한 사찰자료 제출 요구 방침과 관련해 “정보위 차원에서 자료를 요구하면 보고를 성실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고, 하 의원도 “이 문제는 초당적으로 같이 하는 것으로 합의했다”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자료제출 의결 절차와 관련해 “국정원 진상조사위원회에서 자료를 취합하기 전에는 우리가 의결해도 제출할 방법이 없다”며 “한두 달 사이에 해결해야 하는 문제는 아니고, 결과만 받는 게 아니라 중간중간 자료를 제공받겠다”고 말했다.
박근혜 정부 당시 사찰이 지속됐을 개연성에 대해 김 의원은 “국정원의 조사에 그것도 포함되지 않을까 한다. 채동욱 전 검찰총장의 문제가 국정원에서 자료가 나갔던 것 아닌가”라며 “정치인뿐 아니라 검찰총장에게까지 사찰성 자료를 수집했다고 한다면 굉장히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김정욱 기자 mykj@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