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17일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배상 판결에 따른 일본기업 자산 현금화 문제에 대해 “한일 양국이 대화를 이어오고 있으며, 분위기도 개선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 대표는 이날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진행된 관훈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최근에 박지원 국정원장과 김진표 한일의원연맹회장이 일본을 다녀왔는데 아베 정권 시절보다 많이 부드러운 대화가 오간 것으로 알고 있다”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일본기업 자산 현금화 문제는 정부가 물밑에서 부단히 제안을 하고 상대의 입장을 타진하는 일이 끊이지 않은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며 “타결에까지 이르렀다고 보이지는 않지만 분위기는 상당히 개선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다만 ‘정부여당에서 논의되는 해법이 있는가’라는 질문에는 “법원의 법적 절차에 대해 정치권이 왈가왈부하는 것은 온당치가 않다”라며 조심하는 모습을 보였다. 일본기업 자산 현금화 절차를 올림픽 이후로 유예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그렇지는 않을 것”이라고 부정했다. 지난해 여권 일각에서 ‘도쿄올림픽을 보이콧해야 한다’는 강경한 목소리가 있었다는 지적에는 “도쿄올림픽 보이콧이 논의되거나 검토된 적은 한 번도 없다”라고 일축했다.
/이혜인인턴기자 understand@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