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에는 혈액이 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각 방 사이의 문 역할을 하는 4개의 판막이 있다.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의 승모판막, 좌심실과 대동맥 사이의 대동맥판막, 우심방과 우심실 사이의 삼첨판막, 그리고 우심실과 폐동맥 사이의 폐동맥판막이다. 이 판막에 협착 또는 역류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 심장판막질환이다.
심장판막의 기능 이상에는 판막이 완전히 열리지 않아 혈액이 제대로 통과하지 못하는 협착증, 그리고 판막이 닫혀야 하는 순간에 완전히 닫히지 않아 혈액이 반대 방향으로 역류하는 폐쇄 부전증이 있다. 일부 환자는 하나의 판막에 협착증과 폐쇄 부전증이 모두 나타나기도 한다.
판막질환이 악화되면 심장기능까지 저하돼 심장질환에서 볼 수 있는 여러 증상이 나타난다. 일상생활에서도 쉽게 숨이 차고 심하면 누워 있기 어려울 정도가 된다. 또 조금만 움직여도 맥박이 빨라지며, 부정맥이 발생해 맥박이 불규칙해져 가슴 두근거림이나 답답함·호흡곤란 등을 느낄 수 있다. 수면장애, 복부 팽만감과 식욕 저하, 기억력 감퇴 등 심부전 증상이 점점 악화될 수 있다.
몸이 부으면서 종아리나 발목을 누르면 자국이 오래 남아 있는 증상이 나타나며 체중이 증가할 수 있다. 또 배가 부른 느낌이나 소화가 잘 안 되는 기분이 들 수 있다.
간혹 심장판막질환으로 진단받고도 증상이 없다는 이유로 방심하는 환자들이 있다. 그러나 심한 판막 협착증 및 역류증을 그대로 두면 심장기능이 저하돼 가슴 답답함이나 호흡곤란이 나타나는 심부전을 비롯해 부정맥·박테리아에 의한 감염성 심내막염, 뇌졸중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판막질환의 위치나 심한 정도에 따라 급사의 위험까지 있다.
심장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일상에서 무리한 활동이나 과격한 육체노동을 피하고, 폐부종이 있는 경우에는 염분 섭취를 제한하고 자주 체중을 측정해 부종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다. 심방세동 등 부정맥이 발생하거나 심장의 기능부전이 악화되면 혈전증에 의한 뇌졸중 등 이차적 색전증이 발생할 수 있어 예방을 위해 항응고제 복용이 필요하다. 치과 치료를 포함한 기타 침습적 치료를 받을 경우, 감염성 심내막염이 합병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이삭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심장혈관외과 교수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