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30일 있었던 ‘남북미 판문점 회동’의 의미에 대해 “남북에 이어 북미 간에도 문서 상의 서명은 아니지만 사실상의 행동으로 적대관계의 종식과 새로운 평화시대의 본격적인 시작을 선언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라 평가했다.
문 대통령은 2일 국무회의에 참석해 “정전협정 66년 만에 사상 최초로 당사국인 북한과 미국의 정상이 군사분계선에서 두 손을 마주 잡았고 미국의 정상이 특별한 경호 조처 없이 북한 정상의 안내로 군사분계선을 넘어 북한 땅을 밟았다. 같은 시간 같은 곳에서 남북미 정상의 삼자회동도 이뤄졌다”며 이같이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앞으로 이어질 북미대화에 있어서 늘 그런 사실을 상기하고 그 의미를 되새기면서 대화의 토대로 삼아나간다면 반드시 훌륭한 결실이 맺어질 것이라 믿는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판문점 회동 직전 한미 양국 정상이 최초로 비무장지대(DMZ)에 함께 방문했다는 점도 언급했다. 문 대통령은 “저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함께 군사분계선으로부터 불과 25m 거리에 있는 최전방 감시초소(GP)를 방문했다”며 “국민들께서 의미있게 보실런지 모르겠지만 양국 대통령이 군복이나 방탄복이 아닌 양복과 넥타이 차림으로 최전방 GP를 방문한 것도 사상 최초”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저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군사분계선으로부터 불과 40km 떨어진 서울과 수도권에 대한민국 인구 절반이 거주하고 있으며 서울에만 10만 명 이상의 미국인이 상시적으로 거주하고 있는 상황을 설명했다”며 “눈 앞에 뻔히 보이는 개성공단이 남북 경제와 우리의 안보에 가져다주었던 긍정적인 효과에 대해서도 설명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역사적인 이번 ‘판문점 회동’이 트럼프 대통령의 파격적인 ‘SNS 제안’과 김 위원장의 과감한 호응 등 ‘놀라운 상상력의 산물’이라고 언급하며 “그 상상력이 세계를 놀라게 했고 감동시켰으며 역사를 진전시킬 힘을 만들어냈다”고 높게 평가했다. 그러면서 이 같은 ‘상상력’이 국내 정치에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 정치에 있어서도 부족한 것이 상상력이라고 생각한다”며 “과거의 정치문법과 정책을 과감히 뛰어넘는 풍부한 상상력이 정치를 기대해본다. 정부 각 부처에서도 우리 경제와 민생의 어려움을 타개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 선의를 가지고 열심히 하는 것을 넘어서서 과감한 정책적 상상력을 좀더 풍부하게 담아줄 것을 당부한다”고 덧붙였다.
/양지윤기자 yang@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