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사회적경제를 집중 육성하기 위해 올해 193억원을 투입한다. 저성장·저고용으로 고용구조가 바뀌고 저출산 고령화에 따라 늘고 있는 사회서비스 수요를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통해 해결하겠다는 취지다. 시는 공공기관과 대기업, 온·오프라인 유통사, 사회적경제조직 등이 참여하는 상생협력형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 사회적경제 저변을 넓혀간다는 복안이다.
부산시는 ‘2019 사회적경제 육성 시행계획’을 수립하고 본격 추진한다고 3일 밝혔다. 시는 이를 위해 정부 공모사업 등을 통한 국비 120억원을 비롯한 시비와 이전 공공기관 지원기금 등 총 193억원을 확보했다. 시 관계자는 “이번 사회적경제 육성계획을 통해 문화예술 분야, 저출산·고령화 및 환경문제 등 지역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사업모델 개발할 것”이라며 “공공기관, 대기업 등이 참여하는 상생협력형 비즈니스 모델을 성공적으로 만들겠다”고 설명했다.
시는 먼저 사회적경제 분야 창업을 촉진하기로 했다. 사회적기업연구원, 부산사회적경제네트워크, 부산디자인센터와 협력해 사회적기업가 90개팀 200여 명을 육성하고 수영구에 있는 ‘소셜캠퍼스 온(溫) 부산’에 50개 기업을 입주시켜 성장을 돕는 방식이다. 또 이전 공공기관과 함께 부산사회적경제지원기금 10억4,000만원을 조성해 사회적기업과 마을기업, 자활기업, 협동조합의 자립 기반도 마련한다.
사회적경제기업의 판로를 개척하고 소비자 접점을 확대하는데도 힘쓸 계획이다. 상반기에는 ‘부산시 사회적경제기업 제품 구매촉진 및 판로지원에 관한 조례’을 제정해 공공기관의 사회적경제 기업 제품 구매 범위를 정하고 이달부터는 사회적경제 통합상품몰 등에 부산제품의 입점을 추진한다.
시는 이와 함께 사회적기업가육성센터 3곳과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 등을 연계해 부산형 소셜벤처 밸리를 구축하고 협동조합 브랜드 사업을 개발한다. 도시철도 4호선 동래역사에는 사회적경제를 알리는 커뮤니티센터도 마련한다. 이밖에 공공기관과 대기업이 참여하는 상생협력 활성화 촉진, 사회적경제기업 아카데미, 사회보험료 지원, 도재생연계 마을 기업 육성, 사회적기업 종사자 교육 등의 시책을 추진한다.
부산시 관계자는 “올해는 사회적경제기업의 판로 개척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시의회, 사회경제조직 등과 머리를 맞댈 것”이라며 “부산의 대표 사회적기업들을 육성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