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의 입성으로 두 지역에 2028년까지 억대연봉 일자리가 2만5,000개씩 생기는 셈이니 지역 경제가 들썩일 만하다. 테네시주 내슈빌에도 아마존 물류총괄센터가 들어서 약 5,000개의 일자리가 만들어진다고 한다. 지자체 입장에서도 아마존 효과는 엄청나다. 아마존의 투자와 고용창출로 향후 20년간 뉴욕시는 100억달러, 내셔널랜딩은 32억달러의 세수가 늘어날 것으로 추산된다. 지하철과 도로 등 교통 인프라 확충에 따른 도시 경쟁력 제고는 덤이다.
본사 유치 도시들은 규제 완화와 인센티브 제공으로 화답하고 있다. 규제 완화→일자리 창출→세수증대→세제혜택→고용증대의 선순환이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아마존의 전체 직원 수는 34만여명으로 관련 정보기술(IT) 기업 가운데 가장 많다. 그런데도 다른 기업보다 매년 5~6배의 인력을 채용하고 있다. 올해 1·4분기에만도 8만명에게 일자리를 제공했다. 일자리 화수분 같다는 얘기가 나오는 이유다.
이렇듯 아마존이 지속적으로 일자리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은 무엇보다 미국의 자유로운 기업환경 덕분이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들어 법인세 인하 등으로 기업 활력이 살아나고 있다. 이와 정반대인 국내 기업의 현실을 생각하면 부러울 따름이다. 현 정부 들어 고용참사가 괜히 일어나는 게 아니다. 정부는 아마존이 끊임없이 일자리를 쏟아낼 수 있는 배경을 직시해야 할 것이다. 15일 니어포럼에서 이희범 전 산업자원부 장관이 강조한 “일자리를 만들려면 기업가정신부터 살리라”는 고언을 되새기기 바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