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선미 신임 여성가족부 장관은 27일 “민간 부문에 ‘고위관리직 여성비율 목표제’ 도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진 장관은 이날 취임사에서 “공공부문은 빠르게 개선되고 있지만 민간에서는 진입이나 승진에서 여전히 성별격차가 크다”며 “주요 기업과 협약을 추진하고 민간기업의 고위관리직 여성비율을 해마다 조사해 발표하겠다”고 했다. 아울러 ‘기업 성차별 사례 100일 신고창구’를 운영해 기업 내 성폭력도 특별점검한다고 진 장관은 밝혔다. 여성가족부에 따르면 지난 2016년 기준 국내 500대 기업의 여성임원 비율은 2.7%다.
진 장관은 여성폭력 근절을 위해 여성폭력 통합처리시스템도 구축할 계획을 밝혔다. 그는 “여성폭력을 방지하고 피해자 보호·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여성폭력방지기본법’ 제정을 반드시 마무리 짓겠다”며 “한 번의 신고만으로도 피해자가 필요한 지원과 보호를 통합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여성폭력 통합처리시스템을 구축하고 현장맞춤형 관리도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국회 계류 중인 미투와 디지털 성범죄 법안 132개도 제·개정 속도를 높이고 국민 대상 교육현장에 생애주기별 성 평등 교육도 도입할 예정이다.
여성가족부의 ‘가족’ 기능에 맞추어 새로운 가족형태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진 장관은 “가족정책의 기반인 ‘건강가정기본법’을 전면 개정해 다양한 가족을 위한 정책적 기반을 만들겠다”며 “청소년들도 가정이나 주변 환경, 재학 여부, 정체성에 상관없이 권리를 누리도록 하겠다”고 했다. 또 2030세대 100인으로 구성된‘(가칭)다음세대위원회’를 출범해 정책자문기구로 삼고 청년들의 문제제기와 개선방안을 정책에 반영할 예정이다.
진 장관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도 속히 해결하겠다고 밝혔다. 진 장관은 “더 늦기 전에 국내외 관련 기록물과 연구결과를 모아 후세대 역사교육의 기반을 마련하겠다”며 “화해·치유재단 처리문제는 철저히 피해자 관점에서 하루 속히 마무리짓겠다”고 했다. 지난 8월 이낙연 국무총리가 밝힌 ‘연내 청산’ 계획보다 한 발짝 더 나아간 논의다.
진 장관은 “여성가족부가 설립 이래 지금처럼 국정운영의 중심에 서고 국민들의 높은 관심과 기대를 받았던 적이 없다”며 “성평등과 다양성을 책임지는 사람으로서 사명감과 자부심을 갖자”고 직원들을 독려했다.
/신다은기자 downy@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