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부 장관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위원장 은(Chairman Un)’이라고 불러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폼페이오 장관은 8일 북미정상회담 사전조율을 위해 평양으로 가는 전용기 안에서 기자들에게 “(트럼프) 대통령과 ‘위원장 은’ 사이의 성공적인 정상회담을 위한 틀을 만들어내기 위해 회담 의제들을 확정하길 희망한다”고 방북 배경을 설명했습니다. 실수로 김 위원장의 성을 잘못 부른 것 같은데요, 아무리 그래도 그렇지 정상회담 준비를 하는 장관이 상대국 정상의 성을 착각했다는 것은 너무 심했네요.
▲아베 일본 총리가 한중일 정상회의 후 북한에 대해 “북한이 올바른 길을 걷는다면 북일 평화선언에 의거해 불행한 과거를 청산하고 국교 정상화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2002년 체결된 북일 평화선언은 일본의 식민지 지배에 대한 반성과 사죄 표명을 담고 있는데 일본인 납북과 북핵 문제가 해결된다면 이를 이행하겠다는 뜻으로 보입니다. 우리가 위안부와 과거사 사죄를 요구할 때 모르쇠로 일관하던 그 아베가 맞나 싶습니다.
▲친환경 축산물 인증을 받은 농가의 동물용 의약품이 친환경 허용기준보다 최대 780배까지 검출됐다는 감사원 감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이 이런 인증을 부여하는데요, 정작 관리원은 허용 기준을 초과한 53개 농가 가운데 39곳은 인증을 취소해야 하는데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았다네요. 친환경 인증만 믿었던 소비자만 봉이 될 꼴이네요.
▲학교 현장의 교권 침해가 갈수록 심각하다고 합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에 따르면 지난해 교총에 접수된 교권침해 상담 건수는 508건으로 2007년(204건)에 비해 149%나 늘어났다는데요. 이중 학부모에 의한 피해가 절반 수준을 훨씬 웃돌고 있다니 무엇보다 어른들부터 스승의 그림자도 밟지 않는다고 했던 옛말을 몸소 실천에 옮겨야 하겠습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