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UAE의 관계 발전은 글로벌 보호무역주의가 거세지는 상황에서 상당한 의미가 있다. 최근 미국과 중국 간 통상전쟁이 격화되면서 우리나라는 양국 모두로부터 압력을 받고 있다. 우리가 두 나라 사이에 끼여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것은 교역이 주요2개국(G2)에 편중된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교역구조를 다변화해야 한다. UAE는 중동에서 우리와 거래 규모가 가장 큰 교역국이자 최대 방산수입국이어서 양국 관계 발전은 중동 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구축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특히 UAE가 탈석유 전략을 서두르고 있어 에너지·인프라는 물론이고 보건, 정보통신기술(ICT), 우주개발 등에서 협력할 부분이 무궁무진하다. 문 대통령이 지난번 구상을 밝힌 신남방정책에 이어 중동 진출 전략이 본궤도에 오르면 우리나라가 G2로부터 받는 압력의 강도는 지금보다 훨씬 약해질 것이다.
관건은 우리의 대응이다. UAE를 우리의 중동 수출 교두보로 활용하려면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걸맞은 치밀한 전략이 필요하다. 원자력발전소만 하더라도 중동 국가들이 석유 이후 시대를 내다보고 건설을 늘리고 있지만 우리는 탈원전을 외치고 있다. 우리가 탈원전을 서두르면 원전에 필요한 인력과 부품 등의 공급에 차질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탈원전 속도 조절을 요구하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4차 산업혁명 대비도 마찬가지다. 중동과의 신기술 협력을 강화하려면 신산업 발전을 가로막고 있는 규제의 족쇄부터 벗겨줘야 한다. 중국이나 미국 등 경쟁국에 뒤지는 기술을 가지고 중동에 진출하기를 바라는 것은 무리다.
중동 시장 진출은 단순히 의욕만으로는 성공하기 어렵다. 정부가 이번 UAE와의 관계 발전을 통한 수출 성과를 내려면 정책적인 뒷받침이 뒤따라야 한다. 그게 없이는 중동 진출도, 시장 다변화도 공염불이 될 뿐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