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위안부 해법을 놓고 양국 정상이 이해의 폭을 좁히지 못했고 그만큼 간극도 컸다는 얘기가 된다. 하지만 북한 핵 문제에 대해서는 공동대응과 협력을 지속해 나가기로 했다. 결국 양국 정상은 한미일 3국 공조를 통해 북한의 무력도발을 억제하는 데에는 공감대를 형성했지만 양국간 핵심 현안인 군위안부 문제에 대해서는 ‘입장 차이’만 확인하는 데 그쳤다.
아베 총리는 박 대통령에게 중국과 미일이 갈등을 빚고 있는 남중국해 영유권분쟁 이슈에 대해 공동의 입장을 취해 달라는 요청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베 총리는 한국과 미국, 일본이 남중국해 이슈에 대해 공동의 협조를 취해야 한다는 뜻을 박 대통령에게 전달했다.
아울러 양국 정상은 북한의 무력도발과 관련해 일본의 자위대가 한반도에 진출할 수 있는 조건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규현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은 정상회담 뒤 브리핑을 갖고 “양국 정상은 올해가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이라는 전환점에 해당한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가능한 조기에 위안부 문제를 타결하기 위한 협의를 가속화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이 정상회담을 앞두고 일본 매체들과의 인터뷰에서 ‘연내 해결’을 강조한 만큼 양국은 올해 타결을 목표로 실무회담에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박 대통령은 정상회담에서 “위안부 문제가 양국 관계 개선의 가장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며 “위안부 문제의 경우 피해자가 수용할 수 있고 우리 국민이 납득할 만한 수준으로 조속히 해결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픈 과거를 먼저 치유해야 미래지향적인 양국 관계 발전이 가능하다는 메시지를 직접 전달한 것이다.
하지만 아베 총리는 군위안부 문제 언급을 회피하거나 애매모호한 표현으로 논의의 초점을 흐렸다. 1일 개최된 한중일 3국 정상회담과 중일 정상회담에서 박 대통령과 리커창 중국 총리가 군위안부 등 역사문제에 대해 아베 총리의 태도변화를 촉구했지만 아베 총리는 앵무새처럼 ‘미래 직시’라는 원론적인 답변을 되풀이했다.
박 대통령과의 양자회담에서도 아베 총리는 군위안부에 대한 사과와 보상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아베 총리는 회담후 일본기자들과 만나 “미래 지향의 협력 관계를 구축해 가는 데 있어서 미래 세대에 장애를 남기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일관계 전문가들은 군위안부 문제에 대해 “양국 정상이 접점을 찾는 노력을 하기는 했지만 앞길은 여전히 험난하다”고 촌평했다.
박 대통령과 아베 총리는 전날 한중일 3국 정상이 공동선언문에서 밝힌 북한 비핵화와 조속한 6자회담 재개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했다. 김 수석은 “양국 정상은 북핵 등 공동의 도전에 대응하기 위한 그간의 한일 및 한미일 3국 협력을 평가하고 향후 다자차원에서도 북핵 대응을 위한 협력을 지속해 나가기로 했다”고 말했다./서정명기자 vicsjm@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