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28일 한일 양국 정부가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합의한 이후 7개월 만이며, 재단설립을 위한 준비위원회가 5월31일 출범한 지 약 2달 만이다.
재단 이사장은 재단설립준비위원장이었던 김태현 성신여대 명예교수가 맡는다.
재단 출범일이 정해짐에 따라 일본 정부가 재단에 10억엔을 언제 출연할지가 최대 관심사로 떠오르게 됐다.
지난해 위안부 합의에서 한국 정부는 위안부 피해자 지원을 위한 재단을 설립하고 일본 정부는 예산으로 10억엔을 거출, 양국 정부가 협력해 위안부 피해자의 명예와 존엄 회복, 마음의 상처 치유를 위한 사업을 시행하기로 합의했었다.
우리 정부는 합의 취지에 따라 일본 정부가 재단 설립 이후 차질없이 10억엔을 출연, 합의를 충실히 이행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한일간 위안부 합의와 재단 출범에 대해 생존한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 일부가 반대하고 있어 앞날은 순탄치 못할 전망이다. 특히 피해자 지원단체인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와 나눔의 집에 거주하는 피해자들(13명)의 반발이 거세다.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은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 29명과 사망한 할머니 8명의 유족을 대리해 위안부 합의에 대한 헌법소원까지 제기했고, 정대협 등 시민단체들은 한일 양국의 합의와 재단 출범에 맞서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별도의 ‘정의기억재단’을 출범시켰다.
위안부 피해자인 이용수·이옥선·박옥선 할머니 등은 최근 대통령 소속 ‘위안부 피해자 생활 안정 지원 및 기념사업 심의위원회’ 설치를 비롯해 위안부 피해자의 장례비 및 추모시설 설치 비용 지원 등을 골자로 하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생활안정 지원 및 기념사업 등에 관한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는 청원서를 국회에 제출했다.
한일 양국 간에도 소녀상 철거 문제와 향후 재단의 사업 방향 등을 놓고 외교적 갈등이 다시 불거질 가능성이 작지 않다.
정부에 등록된 위안부 피해자는 238명이며, 지난해 위안부 합의 당시 46명이던 생존자는 현재 40명으로 줄었다.
/노희영기자 nevermind@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