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이 김수민 의원의 총선 홍보비 리베이트 의혹과 관련해 진상조사 결과를 발표하는 등 부산한 모양새다.
이번 의혹의 핵심은 세 가지다. 하나는 세미콜론과 비컴이 브랜드호텔에 지급한 1억7,000만여원과 세미콜론이 발급한 6,000만원이 담긴 체크카드가 국민의당에 흘러들어왔느냐다. 만일 해당 자금이 유입됐다면 국민의당은 브랜드호텔을 통해 불법적인 정치자금을 수수한 것이 된다. 다른 하나는 해당 자금의 통로 가운데에 선 ‘국민의당TF’의 소속 문제다. TF가 국민의당 소속 기구인지 브랜드호텔 내 국민의당 관련 업무 기구인지에 따라 이번 의혹과 관련해 국민의당 개입 여부가 결정된다. 마지막은 브랜드호텔이 두 회사로부터 받은 돈의 성격이다. 정당한 용역 업무의 대가가 아니라면 자금의 성격을 놓고 논란이 확산될 수 있다.
국민의당은 세 가지 모두 광고·홍보업계의 관행과 실무진의 미숙한 일처리에서 비롯된 문제일 뿐 사실이 아니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진상조사단장을 맡은 이상돈 최고위원은 15일 진상조사 결과 중간 브리핑을 열고 “홍보업체의 자금이 국민의당으로 들어온 것은 없다”며 “이 같은 사실은 통장사본으로도 확인됐다”고 말했다. 이어 6,000만원이 들어 있는 체크카드와 관련해서도 “세미콜론이 국민의당TF의 카피라이터에게 업무 대가로 6,000만원을 지급한 것”이라면서 “체크카드도 발급은행에 반납된 상태”라고 해명했다.
이상돈 최고위원은 “국민의당TF는 브랜드호텔 측에서 국민의당 작업을 하기 위해 만든 내부 TF”라며 국민의당 산하 기구가 아님을 분명히 했다. 브랜드호텔과 세미콜론·비컴과의 계약 및 자금거래와 관련해 국민의당은 아무런 관계가 없음을 주장하고 나선 것이다. 이어 이 최고위원은 브랜드호텔이 받은 1억7,000만여원의 성격에 대해서도 “정당한 용역 서비스의 대가”라고 못 박았다.
다만 이 최고위원의 이날 브리핑이 모든 의혹을 일거에 해소시키지는 못했다. 리베이트 자금의 성격상 기록이 남는 통장을 이용하기보다는 직접 현금으로 건네졌을 가능성에 대해서는 명확한 답변을 내놓지 못했다. 이 최고위원은 “(조사에 법적인 강제력이 없기 때문에) 제출된 기록만 우리가 알 수 있다”고 답했다. 이에 따라 이와 관련해 검찰에서 추가 조사가 이뤄지기 전까지 관련 의혹이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전경석기자 kadak@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