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시가 지난해 말 확정한 '서부산 글로벌시티 그랜드 플랜'을 토대로 올해부터 본격적인 서부산권 개발에 나선다.
서부산권 개발 사업은 낙동강 유역 강서구와 북구, 사상구, 사하구 등으로 이어진 437㎢ 규모의 부지에 서부산 글로벌 시티를 조성해 부산시 전역의 기능을 재편하는 것으로 부산이 2030년까지 낙동강을 중심으로 소득 5만 달러, 세계 30위 권의 글로벌 도시로 거듭나기 위한 대개조 작업이다.
서부산 글로벌시티 그랜드 플랜 가운데 가장 눈에 띄는 대목은 부산시청 서부산청사 건립으로 서부산 균형발전의 추진 의지를 담은 상징적인 프로젝트. 부산시는 서부산개발국과 건설본부, 낙동강관리본부 등 서부산 개발을 담당할 조직들을 서부산 현장으로 옮겨 개발사업을 담당하도록 할 예정이다.
나아가 서부산 균형발전과 글로벌시티 조성을 입체적으로 지원을 할 수 있도록 부산발전연구원와 부산경제진흥원, 부산테크노파크, 부산신용보증재단, 복지개발원, 국제교류재단, 농업기술센터 등도 이전할 예정이다.
서부산 주민들에게는 보다 나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300병상 규모의 서부산의료원을 마련하고 서부산권의 만성적인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해 하단에서 명지주거단지, 녹산공단, 부산신항 등을 연결하는 지하철 연장선도 추진하기로 했다.
30년 이상 노후화된 사상공단을 주거, 문화, 교육, 쇼핑, 엔터테인먼트, 첨단산업 등이 어우러진 복합첨단산업도시인 스마트시티로 거듭날 수 있도록 이르면 다음 달 설계용역에 착수할 계획도 갖고 있다.
부산에서 가장 오래된 공단지역인 신평·장림공단도 혁신형 도시첨단산업단지로 변신한다.
이밖에 인구가 급증하는 북구 지역은 구포역 주변에 복합환승시스템을 건립하고, 구포나루를 복원해 수변공간으로 복합개발한다.
서병수 부산시장은 "서부산권의 각종 개발사업을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첨단 도시기능을 갖출 수 있도록 신규 개발사업도 다수 추진한다"며 "장기적으로는 남부권 신공항 건설과 낙동강 하굿둑 철거, 한일해저터널 건설 등으로 남동경제권은 물론 세계와 연결되는 글로벌 거점으로 서부산을 발전시켜 가겠다"고 말했다.
서부산 글로벌시티 조성사업은 3단계로 추진하는데 대부분의 개발 인프라를 확충하는 1단계 사업은 2020년까지이며, 2단계는 2025년, 3단계는 2030년까지로 나뉜다.
부산시는 서부산 글로벌 시티 조성계획을 완료하려면 국비 47%, 민자 45%, 시비 8% 등 2030년까지 모두 52조원의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내다봤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