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그래픽뉴스] 연말연시 설렘 반납한 소방관들 "내 새해 소망은 대한민국의 안녕"

서울 여의도 순복음 교회 청년들이 지난 크리스마스를 맞아 영등포 소방서 직원들에게 건넨 케이크.





시민들의 안전을 담보하는 마지막 보루, 소방관. 이들의 24시간은 2016년 새해에도 변함없이 숨 가쁘다. 서울경제신문은 우리들의 안녕을 위해 연말연시의 설렘을 반납한 서울 영등포구 영등포 소방서를 최근 방문, 이들의 구조 현장을 동행 취재했다.

△ 생과 사가 갈리는 시간, ‘5분’

지난달 25일 오후 12시 39분 30초. 지하 구내 식당에서 점심을 먹던 소방대원의 귀에 요란한 출동 경보음이 들려 왔다. 영등포의 한 PC방에서 배가 부풀어 오른 50대 남성이 의식 불명 상태로 쓰러져 있다는 소식을 전달받은 소방대원들이 용수철처럼 소방 차량에 뛰어 오른다. 구조팀이 현장에 도착한 시각은 12시 44분 10초. 구조 요청 전화가 접수된 이후까지 걸린 시간 4분 40초. 사람의 목숨을 가르는 골든타임, 5분을 가까스로 사수했다.

구조 대원들이 환자의 동공 상태를 확인한 뒤 곧바로 심폐소생술(CPR)을 시작했다. 현장에서, 그리고 병원을 향하는 차량 안에서 쉴 새 없이 지속된 응급 처치에도 불구하고, 환자는 여전히 의식 불명 상태다. 그렇게 한 사람의 생과 사 사이를 넘나드는 시간이 흐른 뒤 환자의 최종 운명이 신길동 성애병원 응급실로 인계된 시간, 오후 1시 02분 10초. 이렇게 이들의 21분 40초가 흘러갔다.



△ 죽음의 위기 놓인 사람을 책임져야 한다는 부담감

소방관에게 화재·구급·구조 현장은 매일 같이 부딪혀야 할 근무지이자 일터다. 이 곳에서 보고 듣고, 체험하는 모든 것이 이들의 기억 안에 머문다. 20여 년 동안 현장 일선에서 일하고 있는 김재근(52) 소방관은 “얼마 전 구조에 나섰던 환자가 병원 이송 중에 살려달란 말을 계속하면서 피를 쉴 새 없이 흘리는데, 마음이 무거웠다”며 아직도 종종 그날 생각이 난다”고 말했다.

김 소방관의 말처럼, 이들은 업무에서 사람들의 ‘일상사’를 보는 일이 별로 없다. 숨이 가쁜 사람, 이미 숨을 거둔 사람, 화재 속 잿더미에 숨을 제대로 쉬지 못하고 있는 사람들…죽음의 위기에 몰린 사람들을 매일 같이 대면하고, 이들의 숨을 책임져야 한다는 부담감은 직업 의식으로 무장된 소방관이라도 감내하기 쉽지 않다. 김 소방관은 “현장에 가면 표현하기도 힘들 정도의 모습들, 눈을 돌려야 할 정도로 처참한 모습들을 봐야 할 때가 있다”며 “스스로 마음 가짐을 단단히 하면서 극복을 하려고 한다”고 전했다.



지난 2014년 소방방재청이 국내 소방 공무원을 전수 조사한 바에 따르면 우리나라 소방관 가운데 외상 후 스트레스(PTSD) 장애를 앓고 있는 이가 전체 응답자(3만7,093명) 가운데 6.3%에 달했다. 일반인의 10배에 이르는 수치다. 우울증 역시 10.8%가 앓고 있어 일반인에 비해 5배에 이르렀고, 수면 장애에 시달리는 이들도 22%나 됐다. 지난 2008년 종로 소방서에서 관창수(호스 끝에 물이 나오는 금속노즐 부분을 잡는 고참급 소방관)를 맡던 시절 무릎 부상을 입은 적이 있는 손태용 소방관은 “그날 이후 정신도, 몸도 많이 힘들어져 병원 치료 도중 우울감을 느낀 적이 있다”고 말했다.



"> viewer

영등포소방서의 한 소방관이 119 구조 차량 안에서 구급 상황에 대비하고 있다.



△ 부족한 인력에 쌓여가는 업무 스트레스

기자가 동행한 구조 현장에 출동했던 구급 대원은 총 5명. 기본적으론 3~5명이 한팀이 돼 구조 활동에 나서지만 상황에 따라선 인원이 더 투입되는 경우도 있다. 이날 서울 지역에서 발생한 사건은 화재 34건, 구조 76건, 구급 1,106건 등 총 1,338건에 달했다. 서울 지역 소방서가 25곳인 것을 감안하면 소방서 1곳당 53.5건을 처리한 셈이다. 사건 1개를 처리하는 데 약 30분이 걸렸다는 것인데 ‘사건 접수→출동→현장 조치→귀소’를 제대로 이행하기엔 힘에 부치는 시간이다.

실제 지난해 국가인권위원회가 내놓은 소방공무원인권상황실태조사에 따르면 ‘근무 교대 인원이 부족한가’를 묻는 질문에 전체 소방관의 71.4%가 ‘매우 동의’, 혹은 ‘동의함’이라고 답변했다. 응답자의 23%는 ‘비번이 잘 지켜지지 않고 있다’고 답했고, 최근 3개월 동안 근무일이 아닌 날에 출근한 경험이 있는 이들도 76.8%나 됐다.

부족한 인력에 업무 스트레스는 갈수록 쌓여가지만 이를 해소할 수 있는 공간은 좁다. 기자가 찾은 영등포소방서는 그나마 재정 여력이 있는 덕에 소방관 휴식을 위한 ‘힐링룸’, 정신적 치유를 위한 ‘멘토링제’ 등을 운영하고 있지만 소방공원들의 복지 수준은 지역별 편차가 심하다. 강원·경북·충남 지역의 소방서 내에 휴게실 설치된 곳은 절반도 되지 않는다.



사정이 이러하지만 인력 충원은 요원하다. 지난 2014년 소방방재청은 총 5년간 1만3,362명을 충원하겠다는 계획을 내놨지만 실제 달성 여부는 회의적이라는 게 인권위의 지적이다. 같은해 11월 소방방재청이 국민안전처 산하의 중앙소방본부로 편입된 데 반해 실제 소방 사무는 여전히 지방자치단체 소관으로 돼 있어 중앙정부는 국비 지원을 꺼리고, 지자체는 예산 부족을 이유로 인력 증원을 요구하지 않는 상황에 처해 있기 때문이다. 실제 2014년 특채를 포함, 소방공무원으로 새로 선발된 인원은 1,227명으로 당초 계획(3,000명)의 41% 수준에 그쳤다.

2016년 새해 소망을 묻는 질문에 김재근 소방관은 이렇게 말했다. “경기가 어려워져서인지 자살시도로 인한 출동이 부쩍 많아졌어요. 이런 현장이 화재·구급 현장보다 더욱 안타깝게 느껴질 때가 있어요. 살아 있다는 것만으로도 행복할 수 있다는 걸 느꼈으면 좋겠습니다.”

인터뷰 도중에도 끊임없이 출동 경보기를 주시하던 소방대원들. 이들의 새해 소망은 우리들의 ‘안녕’이었다.

/정수현기자 movingshow@sed.co.kr 차오름인턴기자 cor1021@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공지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