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동안의 활동을 돌이켜 보면 왜 우리가 존재하고 있는지 깨닫게 되죠." 한국가스안전공사(사장 이헌만) 임직원들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공사의 설립 목적이 뚜렷이 연계된 사회공헌 활동으로 대단한 만족과 자긍심을 느끼고 있다. 바로 소외계층의 '안전과 생명' 수호라는 가치다. 공사는 지난 95년부터 저소득층 가정의 문을 두드리며 무료로 가스안전 시설을 교체하고 수시로 안전 여부를 점검하는 등의 나눔 활동을 펼쳐오고 있다. 대표적인 활동이 '퓨즈콕' 장착이다. 퓨즈콕은 호스가 빠질 경우 자동으로 가스를 차단해주는 안전장치. 공사 임직원들은 퓨즈콕 전도사를 자임하며 지난 95년부터 지난해까지 10여년간 무려 18만 가구에 퓨즈콕을 무료로 보급했다. 여기에 투입된 금액만 184억원에 달한다. 이헌만 공사 사장은 "도시가스에 비해 LP가스 시설에서 발생하는 가스사고가 4배 가량 많다"며 "사고 예방을 위해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한 퓨즈콕 보급사업을 펼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공사는 올해에도 25억원을 투입, LP가스를 주로 사용하고 있는 소외계층 50만 가구에게 퓨즈콕을 무료로 보급 중이다. 이 사장을 단장으로 전국 31개 봉사팀으로 짜여진 '가스안전 이웃사랑 봉사단'의 활동동 왕성하다. 지난해 출범한 이 봉사단은 전 임직원의 자발적인 모금을 기반으로 소외계층 지원 기금을 마련하고 매달 장애인 수용시설과 고아원 등을 방문하고 있다. 본사의 'Happy KGS', '多사랑', '한우리봉사팀' 등 3개 봉사팀은 서울 주요 사회복지시설을 돌아다니며 기부금품을 전달하고 대청소, 운동화 빨래, 자급농사일 돕기 등의 노력 봉사활동을 실시했다. 경기지역본부 '세이피 천사' 봉사팀 등 지방팀의 경우 거점지역을 중심으로 사회보호시설과 자매결연을 맺어 매 분기 1회 이상 봉사활동을 펼치고 있다. 태풍, 산불 등 자연재해가 집중되는 계절이면 공사도 더욱 분주해진다. 지난 여름에도 강원도 수해지역 주민들에게 부지런히 휴대용 가스레인지와 부탄가스를 실어 나르며 가스누출 위험 등을 점검하는 직업정신을 유감없이 발휘했다. 올해에만 직원 500명이 투입돼 자연재해를 당한 4,200가구의 복구 활동을 지원했다. 공사는 거동이 불편해 가스안전의 취약지대에 놓인 장애우들에 대해서도 세심한 봉사의 손길을 건네고 있다. 매월 장애우 복지시설을 방문, LPG 차량 무료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